화재버스 탈출 실험…튼튼한 버스 유리창 깨뜨린 도구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버스에 갇히면 탈출은 힘듭니다.

강북소방서는 최근 관광버스 화재사고로 인명피해가 발생한것과 관련해 21일 오후 경기도 파주시의 한 폐차장에서 관광버스 화재발생 대비 비상탈출 실험을 했다. 이번 실험에서 비상망치 및 차량내 비치물품(자동차열쇠, 휴대폰, 머리받침대)등을 이용하여 버스 창문 파괴실험을 한 결과 소화기와 비상망치로만 버스창문이 파괴됐다.

기사 이미지

가장 먼저 시도한 방법은 스마트폰을 망치 삼아 자동차 키의 뾰족한 부분으로 유리를 타격하는 것으로 성공하지 못했다. 아무리 두드려도 유치창엔 흠집 조차 나지 않았다.

기사 이미지

다른 대원이 시도했지만 자동차 키를 전화기로 두드리는 동작 자체가 어려워 보였다.

기사 이미지

버스 안에서 누구나 손에 잡을 수 있는 금속은 안전벨트 잠금부분이다. 소방대원이 그 작은 쇠붙이를 잡고 최대한 힘껏 유리를 내쳐쳤지만 이번에도 유리에 아무런 손상을 주지 못했다.

기사 이미지

건장한 소방대원이 발로 힘껏 유리창을 찼지만 차창에서는 둔탁한 소리만 날 뿐 금조차 가지 않았다.

기사 이미지

이번에는 운전기사 좌석의 목받침이 동원됐다. 소방대원은 유리창의 중심부분과 가장자리를 고루 타격해 봤지만 결국 실패했다. 버스 유리창은 매우 튼튼했다.

기사 이미지

비상 수단이 안 통하자 결국 버스에 비치된 비상망치를 써봤다. 소방대원이 유리창 중심을 두세번 타격하자 유리가 드디어 잘게 깨지면서 탈출구가 열렸다. 일반 승객 누구나 이 망치로 유리를 쉽게 깰 수 있을지 확인하기 위해 현장 취재중이던 여기자가 실험에 참가했다.

기사 이미지

여기자는 알려준 요령대로 유리창의 가장자리를 망치로 두드렸다. 그러나 유리는 좀처럼 깨지지 않았다. 곁에 있던 소방대원이 손목에 스냅을 줘 강도를 높이는 방법을 가르쳐 준 뒤에 다시 시도했다.

기사 이미지

젊은 여기자가 비상망치로 버스유리를 깨기까지는 1분 이상이 걸렸다. 실제로 버스에서 화재가 났을 때 1분은 매우 긴 시간이다. 누구로부터 요령을 배우기도 쉽지 않다.

기사 이미지

소방대원들이 버스 유리를 비교적 쉽게 깰 수 있었던 도구는 철제 소화기였다. 그것도 쉽게 와장창 깨지는 것이 아니라 건장한 대원이 서너번 이상 강하게 타격해야 했다.

기사 이미지

여러가지 실험에 실패하고 소화기로 겨우 유리창을 깬 소방대원이 구둣발로 깨진 유리창을 차고 있다.

기사 이미지

실험이 끝난 버스 유리창이 전부 깨져 있다. 화재가 난 버스에서 일반인이 힘으로 탈출하는 것은 불가능해 보인다.

최정동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