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학력고사 과목별 문항·수험시간 늘어난다 | 문교부 과목 축소따라 전형 요강 변경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오는 11월 실시되는 87학년도 대입학력고사의 과목별 출제 문항과 수험 시간이 크게 늘어난다.
학력고사 문항이 이처럼 늘어나는 것은 87학년도부터 고사과목이 현행 15∼16개에서 9개로 줄어들었으나 총점은 3백 20점(체력장 20점 제외)으로 변하지 않았고 가능하면 문항을 늘리는 것이 응시자의 실력을 타당하게 평가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또 대학별 논술고사는 출제단위가 세분돼 현행 대계열(인문계·자연계·예-체계)에서 중계열(인문·사회·법정·경상·이학·공학·농학·음악·미술·체육 등)로 바뀌고 고교 내신 성적 반영률이 40%(현행 30%)로 높아짐에 따라 등급간 점수차(기본반영률 기준)가 2점에서 2.5점 내외가 될 전망이다.
문교부는 4일 이 같은 내용의 87학년도 대학입시요강 지침을 6월중에 확정한다.
◇문항·시간=영어의 경우 50%가 늘어 40문항이 60문항으로 된다. 국민윤리가 15문항에서 25문항으로 늘어나고 사회과의 각 과목도 10문항이 20문항으로 2배가 되며 국어·국사·과학·실업과목이 각각 5문항씩 늘어난다.
다만 1문항에 2점씩을 배점하고 있는 수학의 경우는 I과 I·Ⅱ가 착각 15점씩이 늘어나게 돼 2점 문항 7개와 1점 문항 1개 등 8문항씩이 늘어난다.
◇수험시간=어에 따라 과목당 고사 시간도 1문항에 1분씩의 비율로 늘어나게 되고 수학은 1문항에 2분의 고사시간을 수험생의 부담을 덜기 위해 더 늘리는 방안도 검토한다.
◇논술고사=문교부가 올해 처음으로 이를 허용하면서 수험생의 학습부담 가중 우려만을 의식,「생활 주변의 상식적이고 보편적인 소재」에서만 출제토록 해 각 대학에서 수험생들은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하기 힘들었고 대학측은 답안에 5점 이상의 점수차를 줄 수 없게 돼 고사로서의 실효가 없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에 따라 문교부는 내년부터 올해와 같은 대계열별(인문·자연·예-체계) 출제를 지양, 중계열별(인문·사회·법정·경상·이학·공학·농학 등) 출제를 허용, 구체적인 채점 기준으로 수험생간의 점수차를 낼 수 있게 한다는 방침이다.
◇내신=87학년도부터 내신 성적 반영률이 40% 이상으로 확대됨에 따라 등급간 점수차를 올해의 2점(30%반영의 경우)보다 0.5점 정도 늘어난 2.5점(40%반영의 경우) 내외로 조정할 방침이다.
문교부는 내신 성적 반영이 확대된 만큼 전형에서 차지하는 내신의 영향력도 높여야 한다는 입장이나 서울 등 대도시의 불이익을 고려, 반영률 확대폭에 따른 3.2점 보다는 적은 2.5점 정도의 차로 조정할 방침이다.
※(Ⅱ)는 I·Ⅱ 포함. 시간은 문항당 1분. 단 수학은 1.5∼2분임.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