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살까 말까] 보조금 탐나지만 중고 거래 쉽지 않아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기사 이미지

전기차 구매를 고려하고 있다면 뭘 따져봐야 할까. 일단 전기차는 일반 자동차와 달리 보조금을 받기 때문에 각 지방자치단체 웹사이트부터 방문할 필요가 있다. 구매를 원하는 전기차의 지점이나 대리점에 방문하면 서류 작성부터 지방자치단체 접수까지 도와주는 곳이 많다.

사고 때 내연기관 차보다 수리 불편... 차량 성능은 갈수록 좋아져

서류 접수를 마치면 지방자치단체에서 선정 통보를 기다리면 된다. 일부 지역은 추첨으로 전기차 구매자를 선정하기도 한다. 통보를 받으면 2개월 안에 계약을 완료해야 한다. 계약 완료 후에는 ‘충전기 설치→전기차 출고→보조금 집행’ 순으로 전기차 오너가 될 수 있다.

이런 절차를 시작하기 앞서, 성능과 편의성 중 본인이 어떤 것을 더 선호하는지 생각할 필요가 있다. 최근 출시된 전기차 성능은 나쁘지 않다는 평가가 우세하다. 한때 전기차는 느리다는 편견이 있었지만, 스포츠 주행도 가능한 수준으로 기술이 향상됐다.

내연기관보다 전기모터가 초반 가속능력이 뛰어난 편이다. 내연기관은 출력을 높이려면 변속하는 데 시간이 필요하지만, 전기모터는 즉시 최대토크를 낼 수 있기 때문이다. 모터의 특성상 엔진 내부에서 폭발이 일어나는 내연기관에 비해 정숙성도 뛰어나다.

다만, 주행거리와 배터리 성능은 당분간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배터리는 차량 구동뿐만 아니라 냉·난방 시에도 사용하기 때문에 에어컨디셔너나 히터를 틀면 주행 가능 거리가 줄어든다. 또한 겨울철 리튬이온 배터리 성능이 저하하면 역시 주행 가능 거리가 줄어든다. 전기차 충전소 등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사고가 날 경우에도 내연기관 대비 다소 불편할 수 있다. 전기차 전용 부품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반드시 직영 정비소에 방문해야 정비를 받을 수 있다. 전기차가 대중화되지 않아 전문 정비 업체는 드문 편이다.

경제성은 어떨까. 정부 지원금과 지자체 보조금, 연료비 절감 등을 고려할 때 최근 전기차를 구매하면 경제성은 충분하다는 평가가 일반적이다. 정부 지원금 4000만원에 지방자치단체가 추가로 지급하는 수백만원(450만원~800만원)대 보조금까지 감안하면 기존 차량과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여기에 기름값이 들지 않는 점을 고려하면 가격 면에서 충분히 매력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하루 주행거리가 50㎞ 미만일 경우 월 2~4만원 정도면 충전할 수 있다.

다만 정부가 지원금을 제공하기 때문에 전기차 배터리는 원칙적으로 정부가 소유한다. 따라서 전기차를 폐차할 땐 해당 주소지 시·도지사에게 배터리를 반납해야 한다. 배터리 성능이 저하돼 교체를 원한다면, 배터리를 정부·지자체에 반납한 후 개별 구매해야 한다.

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 전기차도 8종으로 한정돼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환경부가 올해 1월 발표한 전기차 보조금 지원 대상은 레이(RAY)·SM3·스파크(SPARK)·i3· 쏘울(SOUL)·리프(LEAF)·아이오닉·라보피스(Peace·전기화물차) 등이다.

전기차용 충전기를 집에 설치할 때 보조금은 400만원까지 받을 수 있다. 시설비나 전기공사 비용이 400만원을 넘어서면 개인이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중고차 거래도 쉽지 않다. 일단 지방자치단체 규정에 따라 전기차는 구입 후 2년 동안 중고 거래를 할 수 없다. 또한 기존 중고차 거래가 이뤄진 적이 없어 중고차에 가격을 매기기도 쉽지 않아 당분간 실거래가 활발하긴 어려울 전망이다.

문희철 기자 reporter@joongang.co.kr

기사 이미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