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K “일본 방위성, 사드 도입 검토 서둘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일본 방위성이 북한 탄도미사일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도입 검토를 서두르고 있다고 NHK가 10일 보도했다.

노동미사일, EEZ 침범과 맞물려
X밴드 레이더는 이미 2곳에 설치

방위성은 올해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가 잇따르면서 이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올해 2차 추가경정 예산안에 자위대의 요격 미사일을 앞당겨 보충하기 위한 비용을 반영할 방침이다. 이 움직임은 북한이 지난 3일 발사한 노동미사일이 일본 서부 아키타(秋田)현 오가(男鹿)반도 서쪽 250㎞ 지점의 배타적 경제수역(EEZ)에 떨어진 것 등과 맞물린 것으로 보인다. 최대 사거리가 1300㎞인 노동미사일은 일본의 거의 전 지역을 사정권에 두고 있다.

NHK에 따르면 방위성은 이런 점을 고려해 한국에 배치가 결정된 미국의 사드를 일본에 도입하는 방안 등도 검토하고 있다. 현재 일본에는 교토(京都)부 교탄고(京丹後)시 주일미군 통신소와 북서부 아오모리(靑森)현 쓰가루시 항공자위대 기지에 탄도미사일 추적을 위한 X밴드 레이더(TPY-2 레이더)가 설치돼 있다. 일본 방위성이 현재 강화하려는 무기 체계는 최신 요격 미사일인 PAC-3다.

한편 이나다 도모미(稻田朋美) 방위상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비, 자위대의 미사일 요격이 가능하도록 파괴조치명령을 내렸다고 일본 언론들이 8일 보도했다.

도쿄=오영환 특파원 hwas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