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난 끝에 숨겨진 보물 꼭 찾으세요, 저처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3면

기사 이미지

10일 박사학위를 받은 이지선씨(가운데)가 어머니 심정씨(왼쪽), 아버지 이병천씨와 기념촬영을 했다.

책 『지선아 사랑해』(2003년)로 화제를 모았던 이지선(38)씨가 지난 10일 미국 UCLA에서 사회복지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이화여대 재학중이던 2000년 7월 음주 뺑소니 사고를 당해 전신에 중화상을 입고 40번 넘는 수술과 재활 치료를 받았다. 책은 치료와 재활 과정을 담고 있다.

『지선아 사랑해』로 화제 이지선씨
미 UCLA 서 사회복지학 박사 학위
“장애인을 돕는 삶 살고 싶어 도전
늘 누군가의 손 잡아주는 사람이 꿈”

이씨는 16년 전, 죽음의 문턱까지 갔다가 간신히 살아났을 때 “장애인을 돕는 삶을 살겠다”고 다짐했다. 그래서 2005년 다시 공부를 시작했다. 하지만 과정은 쉽지 않았다. 그해 보스턴대 재활심리학 석사 과정에 입학했지만 기대했던 과정이 아니었다. 고민 끝에 2008년 컬럼비아대 사회복지학과에서 다시 석사를 끝내고 2010년 UCLA 박사 과정에 입학했다. ‘박사 이지선’으로 또 다른 기적을 준비 중인 그의 얘기를 들어봤다.

박사 학위를 받은 소감은.
“기쁘긴한데 부담도 크다. 이제는 사회에 나가서 뭔가 해야할 시기가 왔기 때문이다. 어떻게 제대로 해 낼 수 있을지 많이 떨린다.”
박사 논문은 어떤 내용인가.
“비장애인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 변화를 연구했다. 어떻게 하면 장애인에 대한 시선이 바뀔 수 있는지 연구한 거다.”
장애인을 돕고 싶어 공부를 했다고 들었다. 방법을 찾았나.
“성과는 있었다. 연구를 통해 장애인들과의 친밀도를 높이는 프로그램 개발 방법 등을 알게 됐다. 최대한 어울리고 함께 생활하는 기회를 만드는 노력이 필요하단 결론을 얻었다. 여러 장애인 복지단체에 캠프 등 특별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싶다.”
공부가 어렵지는 않았나.
“어려웠다. 박사 과정 1년차 때 영어 실력은 부족한데다 방대한 양의 공부를 소화해 내기가 버거웠다. 늘 꼴찌였던 것 같다. 화장실에서 울기도 하고 힘든 시기를 겪었다.”
어떻게 극복했나.
“2011년 5월, 사소한 실수로 과제를 늦게 제출해 시험 볼 자격을 얻지 못했던 일이 있었다. 스스로에게 화도 나고, 이래서는 안 되겠다 싶어 오기를 부렸다. 책 출간 이후 강연을 많이 다녔는데, 강연을 모두 취소하고 오로지 공부에만 몰입했다. 이를 악물고 넉 달 동안 매달렸더니 다시 도전한 시험에서 좋은 점수를 받았다. 교수들도 깜짝 놀라 신입생 오리엔테이션에 ‘모범생 선배’로 소개해줬다. 꼴찌의 역전이었던 셈이다. 이후 자신감이 생겼다.”
앞으로 계획은 어떤가.
“먼저, 어린이를 위한 동화책을 쓸 거다. 장애인은 조금 다른 사람일 뿐 틀린 사람이 아니란 걸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얘기하고 싶어서다. 내 얘기를 조카가 소개하는 방식으로 서술할 생각이다. 또 학생으로 살았던 미국 생활에서 느낀 점들을 에세이로 정리해 새 책도 낼 생각이다.”
또 다른 시작을 앞두고 스스로에게 바라는 게 있다면.
“처음 마음 먹었던 것처럼 변함없이 누군가의 손을 늘 잡아주는 사람이 되고 싶다.”

그는 “지나온 삶은 저마다 의미가 있는 것 같다. 고난의 끝에는 생각지도 못했던 보물이 있다. 보물을 꼭 찾길 바란다”며 인터뷰를 끝맺었다.

글·사진=LA중앙일보 오세진 기자 oh.sejin@koreadaily.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