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수일전부터 GPS교란 공격

중앙일보

입력

한국을 향한 북한의 인공위성 위치정보(GPS) 교란 공격은 인천국제공항을 이용하는 여객기와 해상의 함정·어선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고 국방부 당국자가 1일 말했다.

익명을 원한 국방부 당국자는 "북한의 GPS교란 공격은 수 일 전부터 진행돼 왔고 어제(3월 31일) 오후 7시 30분쯤 수위가 높아져(출력이 세져) 주의 경보를 내렸다"며 "GPS교란 활동은 자신들의 능력을 과시함으로써 대남 긴장을 조성할 목적"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의 GPS교란 전파는 100㎞이상 도달하는 것으로 안다"며 "전파발신지가 황해남도 해주와 강원도 금강산 일대인 점을 고려하면 인천공항이나 동·서행상에서 작전을 펼치고 있는 해군함정과 어업중인 어선들의 GPS장치에 혼선을 주려는 의도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군과 민간인들을 상대로 한 보이지 않는 전파 공격일 수 있다는 얘기다. 북한은 GPS교란 공격을 실시했던 2011년과 2012년과 달리 해주와 금강산 지역 수십군데에서 동시에 방해(재밍)전파를 쏘고 있다고 한다.

현재까지 북한의 공격으로 발생한 피해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군 관계자는 "북한의 GPS 교란 공격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이에 대비해 군은 탐지체계를 운영중이고, 미래창조과학부 등 관계기관들과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면서 대응하고 있다"고 했다. 특히 군은 북한의 GPS공격으로 항공기나 선박에 피해가 발생할 경우 응분의 대가를 치르도록 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대비하고 있다.

그러나 군의 대응태도를 놓고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온다. 국방부 당국자는 "물리적·인적 피해가 발생할 경우 대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피해가 발생했을 경우 대응하겠다는 취지다. 북한이 불특정 다수를 향해 공격을 진행하고 있고, 항공기의 경우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예방적 차원의 선제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정용수 기자 nky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