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 제재안 통과에 국제사회 환영…"끝이 아닌 시작"

중앙일보

입력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4차 핵실험을 강행한 북한에 대해 대북 제재 결의 2270호를 만장일치로 채택하자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북한이 추가 핵실험이나 탄도미사일 발사를 하지 않기를 강하게 요구한다”고 밝혔다.

 그는 대북 제재 결의안 발표 이후 논평을 통해 “대북 제재 결의안을 높게 평가한다”면서 “제재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관계국과 협력해 의연하게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납치, 핵무기, 미사일 등 북한을 둘러싼 현안 해결을 위해 국제 사회와도 긴밀히 연대하는 데 전력을 다하겠다”고 했다.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외무상도 담화를 통해 “국제사회가 일치해 단호한 자세를 표한 것으로 환영한다”고 밝혔다. 요시카와 모토히데(吉川元偉) 유엔 주재 일본대사는 “대북 제재 결의를 이행하지 않으면 효과가 없다. 결의안 채택은 끝이 아니라 시작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도 성명을 통해 “안보리가 만장일치로 대북 제재 결의 2270호를 채택함으로써 북한이 국제적인 의무를 준수해야 한다는 분명한 메시지를 보냈다”고 평가했다. 그는 “안보리의 확고한 반응은 반드시 북한의 도발을 멈추기 할 것이며, 국제사회 공동의 시각에 따라 대화(북핵 6자회담)는 재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반 총장은 북한 정부를 향해선 “반드시 국민의 삶을 향상시키기 위해 더 많은 일을 해야 한다”며 “인권 개선이 정권의 장기적인 안정과 유지의 기초”라고 했다.

 영국 정부도 대북 제재 결의안에 대해 북한이 핵무기와 탄도미사일 개발을 계속하면 추가적인 안보리 제재를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필립 해먼드 영국 외무장관은 2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북한이 핵무기와 탄도미사일 개발을 주민 삶의 개선보다 우선하는 현재 노선을 계속하면 추가적인 고립과 안보리 행동에 직면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은 도발을 중단하고 국제 사회와의 건설적 관계를 위해 가시적 조치를 취해야한다”면서 “태도를 바꾸고 구체적 조치를 취할 용의가 있다면 국제사회는 이에 긍정적으로 반응할 것”이라고 했다.

 정종문 기자 person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