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궈훙 중국대사 "사드 배치 한중 관계 발전을 위한 노력 순식간에 파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추궈훙(邱國洪) 주한 중국대사는 23일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ㆍ사드) 체계의 한국 배치에 대해 “한ㆍ중 관계 발전을 위한 그동안의 노력이 순식간에 파괴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추 대사는 이날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를 예방한 자리에서 “(사드 배치가) 중국의 안보 이익을 훼손한다면 양국 관계는 어쩔 수 없이 피해를 입게 될 것이다”며 이같이 말했다고 배석했던 더민주 김성수 대변인이 전했다.

추 대사는 이날 김 대표와 45분 간 비공개로 면담을 했다. 명분은 신임 야당 대표와의 인사다. 하지만 예방 요청 시기가 묘했다. 더민주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주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 연설 후 예방을 신청했다고 한다. 당시 김 대표는 박 대통령을 만나 “중국은 북한을 버릴 수 없다는 입장이니 잘 참작해서 대중 외교를 강화하는 게 좋겠다”고 했다.

이날 추 대사는 김 대표에게 사드 배치에 대한 중국의 입장을 쏟아냈다. 추 대사는 ”사드 배치는 중국의 안보 이익에 큰 영향을 미친다”며 “중국은 좋은 친구로서 한국의 약속을 믿을 수 있지만 미국을 믿을 수 있는지 의구심을 갖는다”고 했다. 이어 “사드 배치는 지역의 전략균형을 깨뜨리고 냉전적 대결과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키는 악순환을 가져올 것 ”이라며 “이런 국면이 닥치더라도 한국의 안전이 보장되는지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사드에 대해서는 강경 입장을 쏟아냈지만 유엔 안보리 결의에 대해서는 “이번 주 안에 새로운 유엔 결의안이 채택될 가능성이 큰 데 중국 정부는 처음부터 새롭고 강력한 결의안 채택을 지지해왔다”면서도 “제재는 목적이 돼선 안 되며 대화와 협상을 통해 문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추 대사는 또 “사드 배치 협상은 안보리 협상 과정에도 장애가 되며, 사드가 없었으면 벌써 유엔 결의안이 채택됐을 것이다”고 했다.

김 대표는 추 대사의 발언에 대해 “더민주는 사드배치로 인한 실익이 무엇인지에 대해 냉정하게 판단하고 논의해야 한다는 입장”이라며 “중국 정부도 북한의 비핵화 문제에 대해 보다 적극적으로 임해줬으면 좋겠다”고 했다.

추 대사는 2014년 11월 26일에도 국회를 찾아 “한국의 사드 배치는 북한이 아니라 중국을 목표로 한 것이란 인상을 갖고 있다”며 “사드 배치는 중국 안전에 해롭고 북한을 자극할 뿐 아니라 한ㆍ중 관계에도 크게 나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해 논란을 빚었다.

안효성 기자 hyoz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