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北 광명성4호 위성 궤도에 진입" 국방부 분석결과 발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북한이 7일 발사한 장거리 로켓(미사일) '광명성'호는 2012년 발사한 '은하-3'호의 형상과 성능이 일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경과 길이의 비율이 2.4대 30으로 일치하고,1·2단 추진체 및 페어링의 예상 낙하지역이 2012년과 유사하다는 이유에서다.

북한 장거리 로켓 2012년과 같은 것 사용

또 1,2 단 추진체 및 위성덮개의 낙하지점도 2012년 발사 당시와 유사한 것으로 분석됐다. 국방부와 국방과학연구소 등이 분석한 결과다. 국방부는 9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분석결과를 공개했다.

국방부는 "1, 2, 3단 추진체 및 탑재체는 정상적으로 분리 돼 궤도에 진입했다"며 1단 추진체는 회수 방지를 위해 의도적으로 폭파한 것으로 평가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전문기관 모의분석으로 2단 추진체의 예상 낙하지점을 동창리로부터 2380㎞ 떨어진 지점으로 평가했다"며 "이번 발사한 장거리 미사일의 성능은 12년 발사 장거리미사일과 유사한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군은 지난 7일 동창리에서 790㎞ 떨어진 지점에서 위성덥개인 페어링이 분리돼 3단 추진체와 위성(광명성-4호)이 우주궤도로 진입한 것으로 보고 있다. 북미항공우주국도 2개의 물체(위성과 3단 추진체)가 돌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북한의 주장과 달리 통신이 아직 이뤄지지는 않는 것으로 파악됐다. 국방과학연구소 관계자는 "위성이 발사 초기 궤도에 들어가더라도 자리를 잡고 제 기능을 하는데는 시간이 걸린다"며 "조금더 시간을 두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발사 직후 연료를 소진한 1단 추진체가 본체에서 분리된 뒤 공중에서 폭발한 것과 관련해선 한국군의 추진체 회수를 막기 위해 자폭장치로 폭파한 것으로 추정됐다.

정용수 기자 nky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