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펙초월 전형 2년, 정작 취준생들은 “불안해서 스펙 열공”

중앙일보

입력

 
‘스펙(인턴ㆍ토익ㆍ자격증 등 취업에 도움이 되는 이력) 초월 전형’이 도입됐지만 정작 취업준비생들은 더 스펙에 매달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2013년과 2015년에 등록된 신입 구직자 이력서를 분석한 결과, 학점을 제외한 자격증ㆍ인턴ㆍ영어성적 등 스펙이 2년 전에 비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스펙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2013년부터 적성이나 특기 등을 주로 보는 ‘스펙초월 전형’을 적극적으로 지원해 공기업ㆍ금융권·대기업 등에서 확산됐다. 토익ㆍ자격증 유무를 보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당시 일부 기업에서는 콘서트 형식으로 오디션을 진행해 채용을 하기도 했다.

하지만 사람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자격증 보유자 비율은 2013년 74.7%에서 지난해 81.5%로 6.8%포인트 늘었다. 보유 자격증은 평균 2개로 동일했다.

인턴 경험자도 2013년 18.4%보다 3.4%포인트 증가한 21.8%로 집계됐다. 직무 중심 채용이 강화되면서 경력은 물론 서류전형에서도 인턴 경력을 갖추는 것이 유리해져 더 인턴 경험을 선호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토익성적 보유자도 2013년 38.2%보다 1.8%포인트 늘어난 40%로 집계됐다. 평균 점수는 728점에서 752점으로 24점 올랐다. 800점 이상 고득점자의 비율도 36.2%에서 42.3%로 6.1%포인트 많아졌다.

임민욱 사람인 팀장은 “스펙초월 전형이 2년이나 됐다고 하지만 정작 취업준비생들은 취업에 대해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모르는 실정”이라며 “불안한 마음에 일단 도움이 되는 자격증과 영어 성적에 집중하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이현택 기자 mdfh@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