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계약 중도금·잔금 아파트 집단대출 점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금융감독당국이 아파트 집단대출에 대한 건전성 검사에 나섰다.

금감원, 우리은행·농협 조사

 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지난달 28일부터 우리은행과 NH농협은행을 상대로 집단대출 때 대출심사나 위험(리스크) 관리를 제대로 했는지를 점검하고 있다. 금감원은 두 곳의 검사가 끝나는 대로 다른 시중·지방은행으로 검사를 확대할 계획이다.

 집단대출은 신규아파트 분양계약자에게 일괄적으로 시공사 보증으로 계약자에 대한 개별심사 없이 중도금이나 잔금을 빌려주는 것을 뜻한다. 시공업체가 보증을 서기 때문에 계약자는 개별 대출심사 없이 중도금과 잔금을 분양가의 60~70% 수준까지 대출할 수 있다. 9월 말 기준 신한·KB국민·KEB하나·우리은행 등 시중은행 4곳의 집단대출 잔액은 72조8000억원으로 한 달 새 1조6000억원이 늘었다. 전문가는 본격적으로 입주가 시작되는 2년 뒤 주택시장이 침체하면 집단대출이 부실화될 위험이 있다고 우려한다. 정중호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집단대출은 대출자의 상환 능력을 고려하지 않고 빌려주기 때문에 경기가 나빠지면 대출금 회수가 어려워질 수 있다”며 “금융위기 이후 주택가격이 급격히 떨어졌을 때도 집단대출 연체율이 크게 올랐다”고 말했다.

염지현 기자 yjh@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