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기환 “안심번호 공천 반대 입장 전달” VS 김무성 “반대라는 표현 들은 기억 없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와의 ‘부산 회동’에 앞서 ‘안심번호 국민공천제’ 문제를 상의한 청와대 인사는 현기환 정무수석이었다.

부산회동 전 ‘청와대 상의’ 진실공방
김 대표, 어젯밤 청와대와 접촉
“앞으론 당·청 불화 자제하자”

 이날 김 대표는 청와대 인사와 안심번호 국민공천제를 상의한 사실만 공개하고 실명을 밝히진 않았다. 하지만 실명을 밝히고 나선 건 청와대였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1일 오후 춘추관을 찾았다. 연 이틀째 방문이었다. 이 관계자는 “김 대표가 만난 분은 청와대 정무수석이고, 지난달 26일 (김 대표로부터) 전화가 와서 만났다”며 “김 대표는 ‘안심번호 국민공천제를 하겠다. 야당 대표를 만나겠다’고 했고 정무수석은 ‘문제가 많다. 반대한다’는 얘기를 했다”고 말했다. 이어 “김 대표가 28일 야당과 합의를 했고 그 내용을 알려왔다. (김 대표가) 통보를 한 것”이라고 했다.

 그는 또 “정무수석은 안심번호 국민공천제가 당론도 아니고 문제가 많은 제도였으나, 박근혜 대통령이 당시 유엔 외교 일정이 워낙 빡빡해 보고를 안 드렸다고 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현 수석이 박 대통령에게 여야의 ‘안심번호 국민공천제’ 합의에 대해 보고한 시점은 (순방에서 돌아온) 30일 오전이었다”고 밝혔다.

 청와대가 부산 회동에 대해 알고 있었다면, 전날 안심번호 국민공천제에 대해 조목조목 제기한 비판은 무리한 것이 된다. 그래서 현 수석의 실명을 공개하면서까지 김 대표에게 당시에도 반대 의사를 전했다고 강조한 것이다. 그는 “청와대가 총선 공천 문제에 관여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관여하는 게 아니라 국민의 선택에 관한 중요한 문제니까 말씀드리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김 대표도 지지 않았다. 그는 청와대 설명에 대해 “현 수석이 걱정하고 우려하는 얘기를 한 것은 사실이지만 ‘반대’라는 표현을 한 기억은 없다”고 재반박했다. “(청와대가) 정확하게 ‘반대 의사’라고 했느냐”고 기자들에게 재확인하기도 했다. 그러면서도 김 대표는 “(청와대가) ‘반대했다’고 얘기를 한다면 그것도 내가 수용하겠다”면서 “청와대와 공방할 생각은 전혀 없다”고 말했다.

 청와대 또한 김 대표의 주장에 대해 ‘방어적 응수’는 하되 ‘확전’은 피하려는 분위기였다. 민경욱 대변인은 김 대표가 전날 청와대 고위 관계자의 발언에 대해 “하나만 빼고 다 틀렸다” “당 대표를 모욕하면 여태까지는 참았는데, 오늘까지만 참겠다” 등의 발언을 쏟아낸 것과 관련해 기자들의 질문이 쏟아졌지만 “논평할 것이 없다”고 피해갔다. 추가 대응에 나설 경우 ‘공천 개입’ 논란만 키울 수 있다는 점을 의식한 속도 조절로 보인다.

 김 대표도 오후 늦게 청와대 측과 접촉해 “당내 특별기구를 꾸려서 공천룰을 논의하기로 했으니 이 문제로 양측이 감정적인 대립을 해서 당·청 불화를 연출하는 일은 자제하자”는 식의 대화를 나눴다고 한다. 여권 관계자는 “김 대표와 청와대 관계자 사이에선 ‘당·청 갈등 때문에 노동개혁 문제 등이 뒷전으로 밀린 것처럼 보이는 건 문제’라는 대화도 오간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신용호·이은 기자 nova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