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정상회의 준비 부국장급 협의 15일 개최

중앙일보

입력

한·중·일 정상회의를 준비하기 위한 부국장급 회의가 오는 15일 서울에 있는 한·중·일 3국 협력 사무국(TCS)에서 열린다.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2일 정상회담에서 “10월 말이나 11월 초를 포함한 상호 편리한 시기에 3국 정상회의를 열자”고 한 데 따른 것이다.

외교부 노광일 대변인은 8일 정례브리핑에서 “제6차 한·일·중 3국 정상회의 준비를 위한 한·일·중 3국 부국장급 회의가 9월15일 화요일 서울 3국 협력사무국에서 개최될 예정”이라며 “이번 부국장급 회의를 통해 3국은 제6차 한·일·중 3국 정상회의 시기 조정 등 여러 준비사항과 3국 협력 성과 사업 등에 대해 협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회의에 한국측에선 외교부 동북아국 정병원 심의관이 참석한다. 중국과 일본에서도 외교부 및 외무성 부국장급 인사가 참석할 예정이다.

3국 정상회의 개최 시기를 구체적으로 논하는 것은 3년만에 처음이다. 3국 정상회의는 2008년 이후 매해 열렸지만, 일본 아베 정권이 역사 왜곡 도발을 계속하면서 2012년을 마지막으로 열리지 않고 있다. 3국이 돌아가며 여는 정상회의의 2013년 개최 순서는 한국이었다.

지난해 11월 박근혜 대통령이 미얀마에서 열린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3(한·중·일) 정상회의’에서 다시 제안한 이후 정부는 이를 주요 외교목표로 추진해왔다. 지난 3월에는 서울에서 3국 외교장관 회의가 열렸다. 한·중·일 정상회의가 한국에서 열린다면 장소는 서울이나 제주가 유력하다.

3국 정상회의에는 일본에선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 중국에선 리커창 총리가 참석한다. 아베 총리 취임 후 첫 방한이다. 이를 계기로 박근혜 정부 들어 처음으로 한·일 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도 큰 것으로 점쳐진다.

유지혜 기자 wisepe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