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남북대화 다각 모색 … 특사 파견 가능성 배제 안 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정부가 남북 이산가족 상봉 행사 및 금강산 관광 재개와 관련, 북한에 대화를 제안하는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 중이라고 고위 관계자가 밝혔다. 그는 23일 기자들과 만나 “적절한 계기에 대화 제의건 뭐건, 좋은 시점에 액션을 취해야 한다”며 “여러 가지 검토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북측이 굉장히 경직된 상태라 대화를 하겠다고 문은 열어놓고 있지만 어떤 방식으로 접근해서 어떻게 대화하는 게 실질적 대화를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인지 고민하고 있다”며 “민간을 통해서도 많은 접촉을 하고, 이를 통해 관계 개선 물꼬를 트려고 노력 중”이라고 덧붙였다.

 광복 70주년을 앞두고 “남북 관계 경색 국면을 돌파하기 위해 특사 파견 등을 검토하고 있지는 않으냐”는 질문에 그는 “가능성을 배제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다만 “과거와 같은 민간 브로커 등 비선(秘線) 라인을 통한 접촉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특사와 비선은 좀 다르다. 민간 브로커를 통해선 안 할 것이고, 그 외에 필요한 것들은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음달 5~8일로 예정된 김대중 전 대통령 부인 이희호(93) 여사의 방북과 관련, “정부의 메시지가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이 관계자는 “가시는 것 자체가 굉장히 큰 메시지”라고 말했다. 그런 뒤 “김대중평화센터 측에서 잘 협의할 수 있도록 정부는 조용히 필요한 지원만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8·15 남북 공동 행사와 관련해선 “정부의 기본 입장은 정치적 행사는 좀 곤란하다는 것”이라며 “(민간의 행사를) 통제하는 차원이 아니고, 성사가 중요하니 정치적 논란이 안 되게 해달라는 얘기를 관련 단체에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통일부는 이날 오전 8·15 남북 공동 행사 추진을 위한 민간 단체의 방북 신청을 승인해 남북 실무진이 개성에서 협의를 했다.

하지만 양측은 뚜렷한 결론을 내지 못하고 31일 추가로 실무협의를 하기로 했다. 북한은 “광복 70주년을 맞아 다음달 13~15일 백두산·판문점·평양 등지에서 민족통일대회를 열겠다”고 밝혔다. 이에 남측 준비위는 8·15 행사의 서울·평양 동시 개최를 제안했다. 남북은 지난 6·15 남북공동선언 15주년 행사도 서울·평양 공동 개최에 잠정 합의했다가 막판에 결렬됐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지난 16일 1년1개월 만에 열렸다가 결렬로 끝난 개성공단 남북공동위원회에 대해선 “만났다는 게 중요하다”며 “서로 입장을 이해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더 자주 만나면 서로 문제를 풀어 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큰 틀이 풀려야 한다. 임금 문제가 빨리 해결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한은 남북이 기존에 합의했던 최저임금 인상 상한선인 5%를 넘는 5.18%의 임금 인상을 일방적으로 요구해왔고, 정부는 “남북 당국 협의로 결정하자”고 대응해 왔다.

전수진 기자 chun.suj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