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총? 그물? 전파 방해?…드론 대책에 골머리

중앙일보

입력

무인 항공기 드론 때문에 일본 경찰 당국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1일 보도했다. 최근 일본 총리 관저에까지 상륙한 드론을 막을 마땅한 방법이 없어서다. 이달부터 국회와 총리 관저 등 주요 시설물의 상공 비행을 금지하는 법이 발효될 예정이지만 드론을 활용한 테러를 막을 실질적 수단이 되지는 못한다. 2020년 도쿄 올림픽까지 앞두고 있는 마당에 경찰 당국의 고민이 깊어진다.

일본 보안경비업체 ALSOK사는 지난달 말 드론 탐지 시스템의 공개 실험을 했다. 150m 상공에서 드론의 프로펠러 소리를 음향 센서가 파악하면 컴퓨터 화면에 경고 표시가 나타난다. 회사 관계자는 “소리와 함께 열 감지 적외선 센서를 동시에 적용하면 정밀도는 더 높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드론에 대한 사전 감지가 가능해지면 드론 발견 즉시 대피가 가능해 만약의 사태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했다.

그렇지만 드론을 감지하는 것만으로는 반 쪽짜리 대책에 불과하다. 발견 후 드론을 처리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병행돼야 한다. 일본 경시청이 고려하고 있는 수단은 일단 물총과 그물 발사기다. 2002년 한일 월드컵 당시 훌리건 대책으로 도입됐던 방법이다.

고압으로 물을 발사하는 물총 방식은 총알을 사용해 드론을 격추하는 것에 비해 주변 위험이 적다. 또 그물 발사기 또한 드론이 포획되기만 한다면 주변에 해를 끼치지 않고 드론을 확실하게 떨어트릴 수 있다. 단점은 두 방법 모두 사정 거리가 몇 미터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때문에 사정거리에 접근하기 위해 요격용 드론을 날려 공격 대상 드론을 떨어트리는 방법도 함께 연구·진행되고 있다.

전파 방해 방법도 도입을 고려 중이다. 보통 드론의 무선 조정에 사용되는 2.4기가헤르츠(GHz)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방해해 비행 조정을 못 하게 하는 기술이다. 도쿄전기대학의 하치마키 히로시 교수는 그러나 “전파 방해를 받은 드론이 어떻게 움직일지 알 수 없고, 주변의 사람이나 물건에 충돌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또 “주파수 설정을 바꿔 버리면 전파 방해 방법 자체가 쓸모 없어진다”고 말했다. 경찰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관저 등의 주변 순찰을 강화하고 애초에 드론이 날아다니지 못하게 하는데 중점을 둘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고란 기자 neor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