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치료제 암 유발 막을 단서, 국내 연구진이 찾아내

중앙일보

입력

줄기세포 치료제의 최대 단점은 암을 일으킨다는 점이다. 이를 피할 수 있는 유력한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찾아냈다.

연세대 의대 김동욱 교수(줄기세포 기반 신약개발연구단장) 연구팀은 줄기세포 신경세포 치료제를 만들 때 부작용을 일으키는 신경능선세포(NCC)를 가려낼 수 있는 표지자(marker)를 찾아냈다고 6일 밝혔다.

줄기세포 치료제는 배아줄기세포나 역분화유도만능줄기세포(iPS세포)를 이용해 만든다. 두 세포는 인체 내 어떤 세포로든 분화될 수 있는 만능세포다. 때문에 병이나 사고로 손상된 세포를 되살리는 데 쓸 수 있지만, 원치 않는 암세포도 함께 만들어질 수 있다.

신경세포 치료제의 경우 신경세포와 함께 만들어지는 소량의 신경능선세포가 그 주범으로 의심됐다. 이 세포는 머리의 연골ㆍ뼈ㆍ지방세포와 결합조직세포, 색소 세포, 말초신경계 세포 등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신경세포와 함께 중추 신경계에 이식되면 암을 일으킨다. 하지만 신경세포와 기원이 같고 모든 분화 신호물질을 공유해 따로 가려네기 힘들다는 게 문제였다.

김 교수팀은 신경세포와 달리 신경능선세포에서는 특정 분자(PSA-NCAM)가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동물실험 결과 PSA-NCAM 음성세포(신경능선세포)는 암을 만든 반면 PSA-NCAM 양성세포(순수 신경세포)는 암을 전혀 만들지 않고 뇌졸중·척수손상 동물에 높은 치료 효과를 보였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말 국제 줄기세포학회(ISSCR)의 공식 저널인 ‘스템셀 리포트(Stem Cell Reports)’ 에 소개됐다. 연구팀은 “논문 외에 특허도 출원했다”며 “현재 척수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김한별 기자 kim.hanbyul@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