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디스크 급증, 20~30대 2배 급증…원인은 스마트폰, 예방법은?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목 디스크 급증’. [사진 중앙포토]

목 디스크 급증 소식이 네티즌 사이에서 화제다.

최근 스마트폰 사용이 크게 늘면서 20~30대 목디스크 환자도 덩달아 급증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목 디스크는 퇴행성질환의 일종으로 불린다. 최근 스마트기기 사용이 늘며 20~30대 젊은층에서 목디스크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데 최근 3년간 20대 목디스크 환자수는 7.9배(109명→856명), 30대는 4.6배(407명→1850명) 늘어났다.

바른세상병원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목 디스크 진단을 받은 환자 8958명을 2011년도 환자(2940명)와 비교한 결과, 20~30대 비중이 17.6%에서 3년 새 30.3%로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고 최근 밝혔다.

반면 전통적으로 환자 비중이 높았던 50~60대는 같은 기간 54.2%에서 38.7%로 줄었다. 50~60대 중장년층에 비해 젊은 환자의 목 디스크 증가율이 커진 것이다.

이에 허리와 목을 구부린 채 잘못된 자세와 이 밖의 안좋은 생활 습관으로 장시간 있다 보니 근육에 피로가 계속 쌓이고 결국 디스크로 연결되는 것이다. 목 디스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등’이 중요하다고 전문의들은 강조했다.

의료진은 20~30대 목 디스크 환자가 큰 폭으로 증가한 원인으로 스마트폰, PC 사용 시간이 긴 젊은 층의 잘못된 자세와 생활습관을 꼽았다.

보통 턱을 목 쪽으로 당기는 것을 바른자세로 알고 있지만 이 경우는 목이 꺾이게 된다. 등을 꼿꼿하게 펴야 자연스럽게 목까지 바로 설 수 있다. 전체적인 척추건강을 위해서는 귓바퀴를 기준으로 어깨와 어깨뼈가 일직선을 이룰 때가 가장 좋은 자세이다. 등을 자연스레 피면서 목을 뒤로 당겨야 귓바퀴를 중심으로 직선을 그릴 수 있다.

장기적인 등 근육 운동도 도움이 된다. 엎드린 상태에서 팔꿈치를 펴고 땅을 밀어주는 느낌으로 고개를 들고 등을 들어올리는 ‘등과 날개 뼈 펴기’, 앉아서 아령을 들고 팔을 90도로 세운 후 등 뒤로 팔을 꺾어 날개뼈를 최대한 모으는 ‘등과 날개 뼈 강화 운동’을 8회 3세트씩 꾸준히 하면 근육 강화는 물론 꼿꼿한 목까지 유지할 수 있다.

목 디스크 급증 소식에 네티즌들은 “목 디스크 급증, 스마트폰만 자제하면 되나?” “목 디스크 급증, 잘못된 자세는 고쳐야지” “목 디스크 급증, 충격적이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 중앙일보
‘목 디스크 급증’. [사진 중앙포토]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