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mily/건강] 밤새 보채고 울고…아이 때문에 힘드세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5면

◆정상적인 수면은=아이는 밤에 자다 깨는 일이 흔하다. 실제 갓난아기들은 수시로 자다 깨다를 반복하고, 성장하면서 횟수가 줄어든다. 5세쯤 되면 매일 밤 수면 도중 깨서 울거나 부모를 찾는 경우가 5명 중 한 명꼴.

낮잠 양상도 변한다. 낮에 깨 있는 시간이 길어지고, 횟수가 줄면서 밤에 잠자는 시간이 길어진다. 통상 낮잠 횟수는 생후 6개월만 돼도 하루 두 번으로 줄고, 15개월 이후엔 한 번으로 족하다. 4세 땐 주 5일, 5세 땐 하루 걸러 한 번만 낮잠을 자면 된다.

삼성서울병원 소아정신과 정유숙 교수는 "백일만 지나도 밤 수면이 한 번에 8시간까지 길어진다"며 "사람은 지속적인 수면을 해야 지속적인 각성도 가능해진다"고 설명했다.

◆수면일기를 작성하자=아이의 잠투정이 부모가 짜증낼 정도로 수면을 방해할 경우엔 1~2주간 아이의 수면일기를 적어봐야 한다. 아이가 몇 시에 잠자리에 드는지, 잠들기까지의 과정, 밤에 몇 번이나 깨는지, 아이가 깼을 때 부모가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 깬 후 다시 잠들 때까지의 과정 등을 기록해야 하는 것. 물론 낮잠에 관한 정보도 필요하다.

아이의 낮 동안 활동 상황도 수면 문제를 해결하는 단초가 된다. 유치원이나 초등학교에 다니는 아이일 경우 하루 일정은 물론 선생님.친구 등과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다.

◆신체적 불편함을 찾는다=서울대병원 소아과 고재성 교수는 "영.유아기 때 잠투정이 심하면 수유가 제대로 됐는지, 코가 막혀 숨쉬기가 불편하진 않은지, 열이 나는지, 질병은 없는지 등 신체 이상을 살필 것"을 권했다. 아이의 성격이나 예민함도 원인이 된다. 천성이 까탈스럽거나 부모와 떨어져 자는 것에 대한 두려움, 귀신.천둥.도둑 등 공포감도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이다.

잠자리엔 쉽게 들지만 한밤중에 갑자기 깨 큰 소리를 지르거나 우는 '악몽증'어린이도 있다. 이땐 아이에게 "왜 그래!"하고 다그치지 말고 "괜찮다"며 안아주면 곧 잠에 빠져든다.

한밤중에 일어나 한동안 비명을 지르고 발길질 등 거친 행동을 보이는 야경증, 자다가 걸어다니는 몽유병을 보일 땐 아이가 다치지 않도록 주의한다.

◆수면일기에 답이 있다=어린이 수면장애 치료의 첫걸음은 부모의 여유다. 성장기 수면 문제는 흔하며 대부분 자라면서 좋아지기 때문. 그래야 아이를 대하는 태도도 변하고 아이도 그 영향을 받는다.

아이의 기상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도 중요하다. 수면일기를 보며 식사.낮잠 시간 등 전반적인 생활리듬을 바로 잡도록 한다.

또 부모의 취침시간이 늦거나 아이가 잠든 시간에 불을 켜고, 소리나는 활동(TV 시청 등)을 삼가야 한다.

잠투정이 심하더라도 부모는 아이를 혼자 잠자리에 들도록 습관 들여야 한다. 정 교수는 " 아이가 잠들 때까지 함께 있는 것은 괜찮지만 아이와 함께 눕지는 말라"고 조언했다. 또 숙면을 방해하는 스트레스 상황이나 공포심을 일으키는 만화.영화.TV시청 등은 멀리하도록 유도한다. 몽유병이나 야경증은 성장하면서 서서히 사라진다. 어린이 수면장애 치료를 위한 약물은 증상이 잦거나 심해 일상생활을 방해할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황세희 의학전문기자.의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