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란 일으킨 부분 삭제 한나라당이 국민 선동"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우선, 논란이 되고 있는 '반(反) APEC 정상회의 교육' 동영상 자료를 손보기로 했다. 고호석 전교조 부산지부장은 "다른 시각을 제시하려고 (동영상 자료를) 보여준 건데 마치 욕설이 본질인 듯 얘기되고 있다"며 "욕설이나 부시 미국 대통령 발언 부분 등 논란이 되는 부분에 대해선 삭제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실제 부산지부는 이날 홈페이지 교과모임자료실에 있던 APEC 바로 알기 수업안 동영상 자료를 삭제했다. 부산지부는 "논란이 되고 있는 비속어가 등장하는 장면을 삭제하여 다시 올리도록 하겠다"고 안내했다.

전교조는 동시에 한나라당을 강하게 비판했다. 한나라당의 주장이 국가보안법.사립학교법 개정안 등 전교조가 총력을 기울이는 법안 처리를 무산시키려는 정치적 의도에서 비롯됐다고 보기 때문이다.

한만중 대변인은 "하반기 국회에서 사립학교법.국가보안법 등이 쟁점이 될 것을 감안, 한나라당이 국민을 선동하기 유리하다고 봐서 이런 공세를 취하고 있다"며 "진정 아이들의 교육을 걱정하는 건지 의문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11번의 계기수업을 했다고 얘기하면서 반APEC 수업만 문제 삼지, 이전에 했던 독도나 통일 관련 수업은 언급조차 없다"며 "한나라당의 주장은 색깔론"이라고 규정했다. 논란의 당사자인 부산시지부는 "공동수업에 대한 비방을 통해 현 정권 흔들기까지 시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공동수업 내용에 대해 고 지부장은 "현재 부산시교육청에서 제작하여 배포하고 있는 APEC 계기교육자료나 초등학교에서 이미 실천한 보고서를 보면 철저하게 APEC에 대한 홍보 위주로 편성되어 있다"며 "홍보 위주의 교육은 문제 없고 비판의 소리를 담은 교육은 문제가 된다면 우리나라의 교육 목표는 '민주시민의 양성'이 아니라 '순종적 국민 양성'으로 수정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주 4.3 계기수업 때 잔혹한 처형 장면 등 비교육적 그림이 제시됐다'는 한나라당의 주장에 대해 김경택 제주지부 사무국장은 "4월에 계기수업을 할 당시엔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다"며 "왜 지금에야 문제를 삼느냐"고 반문했다.

고정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