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건설 줄어 남는 인력·장비 다목적 댐 건설에 투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정부는 중동의 건설경기 퇴조에 대비해 중동 건설현장으로부터 남는 인력·장비를 국내에 들여와 다목적 댐·서해간척사업 등을 대대적으로 벌일 계획이다.
정부는 유가인하로 산유국의 외환사정이 어려워져 중동건설경기가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고 이에 대한 타개책으로 다목적 댐과 서해간척사업·도로공사 등을 크게 벌여 중동에서 남아도는 장비와 인력을 활용한다는 것이다.
정부는 이미 세워놓은 7개 다목적 댐 건설계획을 4년 정도 앞당길 방침이다. 정부는 중동건설경기부진에 대비, 국내경기를 일으키되 수입이 유발되지 않으면서 사회간접자본의 확충을 기할 수 있는 방향으로 쓴다는 원칙에서 다목적 댐과 서해간척사업을 택하게 된 것이다.
정부는 해외에서 쓰던 장비를 다시 들여오는 경우 면세 도입까지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해외건설업체는 아직 중동에서 더 버텨보다가 일부 인력과 장비를 아프리카나 중남미건설시장에 빼내고 최악의 경우에는 국내에 다시 들여오도록 할 예정이다.
해외건설협회는 최근 학계·회원사들이 모여 중동건설경기퇴조에 따른 대책을 논의했으나 결론을 못 내렸다.
지배적인 의견은 좀더 관망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현대·삼성·대우 등 중동건설업체들은 아직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한바 없다고 밝히고 좀더 관망한다는 입장이다.
한양주택은 중동에서 수주가 당초 예상보다는 차질이 될 것으로 우려되지만 연말까지는 중동시장을 포기하지 않고 밀고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