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의 하루 만에 경수로 마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북한이 20일 "경수로가 제공되기 전에는 핵확산금지조약(NPT) 복귀 등의 조치가 이뤄지기 어렵다"는 주장을 하고 나선 데 대해 6자회담 참가국들이 일제히 비판하고 나서 긴장국면이 조성되고 있다.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이날 담화에서 "미국이 우리에게 신뢰 조성의 기초로 되는 경수로를 제공하는 즉시 NPT에 복귀하며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담보협정(Safeguards)을 체결하고 이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외무성 대변인은 "(미국이)또다시 선 핵무기 포기, 후 경수로 제공 주장을 고집해 나선다면 조.미 사이의 핵 문제에서는 아무것도 달라질 것이 없으며 그 후과는 매우 심각하고 복잡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6자회담 북측 대표인 김계관 외무성 부상도 이날 베이징에서 "미국이 경수로를 건설해 믿음을 보여줘야 하며 그 전에 핵무기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북한이 조속한 시일 내 NPT와 IAEA 안전조치에 복귀하고 대북 경수로 제공은 '적절한 시기'에 논의하기로 한 전날 4차 6자회담 공동성명과 배치되는 것이다.

이에 대해 이태식 외교부 제1차관은 국회에서 "북한이 핵을 폐기하고 IAEA 사찰을 받고, NPT에 재복귀하게 되면 자연적으로 평화적 핵 이용권이 생기게 되고 경수로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선(先) 핵 포기 후(後) 경수로 지원 원칙을 확인했다.

숀 매코맥 미 국무부 대변인도 "북한의 입장은 베이징 6자회담의 합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이라며 "우리는 앞으로 몇 주 동안 상황이 어떻게 될지 두고 볼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의 친강(秦剛) 외교부 대변인도 "6자회담 공동성명은 회담 당사국의 엄숙한 정치적 승낙이다. 참가국은 책임 있는 태도로 공동성명에서 약속한 내용을 이행해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노무현 대통령은 오전 국무회의에서 "북핵 문제가 모두 다 해결된 것은 아니지만 이제 해결의 실마리는 잡았다"고 말했다고 김만수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최훈.이영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