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의 홍콩 트위터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403호 18면

RRR
중국, 금리인하 단행. 후속조치로 지급준비율(Reserve Requirement Ratio)도 인하한다면 본격적 확장정책 진입. 버블을 막고자 2006년 이래 20여 회 총 15%가량 RRR을 인상한 것의 반대 수순. 두고봐야 할 리커노믹스.

以버블 治버블
미국의 양적완화 정책 성공신화에 주요국, 너도나도 버블버블. 중국 인민은행은 금리인하, 유럽중앙은행(EC)은 양적완화, 일본은 의회해산으로 소비세인상 해체 모드. 버블로 버블을 다스리려는 위태로운 행마. 미국경제 빼고는 모두 미생(未生)이라는 고해성사.

뚜껑 열린 구정(舊井)
유가 폭락에 관련산업 멘붕. 배럴당 150~200달러 믿음에 기대 미국 텍사스 전역을 휩쓴 구유정(舊油井) 재개발 붐(boom)도 신기루(doom)될 위기. 셰일가스·오일 진입을 방해하고 심해유전, 구유전 등의 한계생산시설 퇴출을 노린 석유수출국기구(OPEC)발 쿠데타.

다음주 preview
산유국발 유가 파동 국면에 ECB의 정책회의(4일) 주목. 호주 및 인도의 정책금리 결정(2일)도 살펴야. 주초 중국·미국 및 독일의 제조업 지수와 11월 미국 고용지표(5일·실업률 5.8%, 고용창출 23만 명)도 관심.

김문수 액티스 캐피털 아시아 본부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