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개념 연금보험,주식·채권 투자 실적 나빠도 원금 웃도는 연금 보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10면

우리나라 노인 가운데 일하는 사람이 선진국에 비해 많은 편이다. 노후에 일이 있어 행복한 거라고? 천만의 말씀. 노후준비가 부실하다 보니 생계 유지를 위해 어쩔 수 없이 일터로 내몰리고 있는 것이다.

 개인연금 가입에 관한 통계가 우리나라 노인의 노후 준비가 부족하다는 사실을 잘 말해 준다.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개인연금 가입률은 2012년 기준 15.7%(약 800만 명)에 머물러 있다. 특히 60세 이상 고령층 가입률은 5.7%에 불과하다.

 개인연금 유지율도 낮아 노후보장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 개인연금 가입자 10명 중 8명 정도는 10년 이내에 계약을 해지하는 실정이다. 연금 수령 시점에 일시금으로 받는 경우도 많아 가입자 10명 중 매월 연금을 받는 사람이 채 1명도 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왜곡된 연금 가입 문화를 근본적으로 바꾸고, 제대로 노후를 준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보험상품이 나왔다.

교보생명이 최근 출시한 ‘미리 보는 내 연금 교보변액연금보험’은 노후를 꾸준히 준비하는 고객에게 더 큰 혜택을 돌려주는 신개념 연금보험이다.

 이 상품은 보험료를 주식·채권 등에 투자해 투자수익에 따른 적립금을 연금으로 나눠 받는 변액연금보험이다. 만기(연금 개시 때)까지 오래 유지해 연금으로 받을 때 일정한 금리를 적용한 확정연금을 보증하는 것이 특징이다. 고객이 낸 주계약보험료를 납입기간에는 연 단리 5%, 거치기간에는 4%를 적용한 금액(최저연금기준금액)을 연금 재원으로, 매월 받을 연금액을 평생 최저 보증하는 것이다.

기존 변액연금은 연금 개시 시점에 투자실적이 좋지 않아 적립금이 납입 원금을 밑돌 경우 납입 원금을 최저 보증하는 데 그쳤다.

 예컨대 40세 남자가 월보험료 100만원, 20년 납입(총보험료 2억4000만원), 65세 연금 개시 때 투자실적에 관계 없이 65세부터 생존기간 내내 월 150만원을 받을 수 있다. 투자수익률이 3.5%인 경우 월 연금액 170만원, 7%인 경우 272만원으로 늘어난다.

 그러나 중도에 해지할 경우 금리가 적용되지 않고, 해지환급금은 해지 시점의 투자수익률이 반영된 적립금으로 지급한다. 이에 따라 조기에 해지하거나 투자실적이 좋지 않을 경우 원금 손실을 볼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따라서 단기간 목돈 마련이나 일시금으로 받으려는 고객에게는 적합하지 않으며 오히려 불리할 수 있다. 반대로 노후에 안정적인 연금소득(현금 흐름)을 원하는 고객에게는 적합한 상품이다.

 보험료 납입 완료 및 연금 개시 시점에 ‘장기유지보너스’를, 10년 이상 유지하는 경우 펀드 운용보수의 일정 금액을 계약자적립금에 더해 더 많은 연금을 받을 수 있는 점도 장점이다.

 교보생명이 이처럼 장기유지 고객에게 유리한 변액연금 상품을 만든 것은 사회보장제도의 한 축을 담당하는 생명보험사로서 고객의 노후생활보장을 제대로 돕기 위해서다. 교보생명 관계자는 “재테크나 목돈 마련이 아닌 연금소득 확보에 초점을 맞춘 진정한 연금보험”이라며 “100세 시대에 바람직한 연금 가입 문화를 위해 노후를 꾸준히 준비하는 고객에게 더 큰 혜택을 드리는 상품을 개발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 상품은 여유자금이 있을 때 보험료의 2배까지 추가 납입할 수 있고, 갑자기 목돈이 필요할 때는 중도에 인출해 쓸 수 있다. 경제 사정에 따라 보험료 납입을 일시적으로 중지할 수도 있다.

 보험료 납입을 완료한 후에 긴급 자금이 필요할 경우 해지하지 않고 일정 금액을 인출해 연금 개시 전에 유동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다. 단 이때 거치 기간의 4% 금리는 적용되지 않아 연금재원은 늘지 않는다.

 월보험료는 최소 10만원 이상이며 한꺼번에 목돈을 내는 ‘일시납’은 없다. 15세부터 70세까지 가입할 수 있다.

서명수 재테크 칼럼니스트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