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시제도개선 대학자율 넓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교육정책과 관련하여 전면 금지되고 있는 과외수업, 추천에 의한 고교입시제도, 국가고사에 거의 전적으로 의존하는 대학입시제도 등의 현행교육제도에 대하여 전폭적인 지지를 보인 응답자는 전체의 과반수에 훨씬 미달, 상당한 문제점을 안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전면 금지되고있는 과외금지정책에 대하여「중·고교내에서의 보충수업정도는 허용되어야 한다」는 견해가 전체응답자의 44·1%로 가장 많고, 현행대로 「과외는 계속 금지되어야 한다」는 견해가 36·1%였으며 「국민학교의 경우만 해제」4·9%, 「과외금지조치 전면 폐지」9%등으로 나타났다.
현행제도에 대한 지지율은 작년의 본 조사결과 (52%찬성)와 비교할때 원칙적으로 과외금지조치에 찬성하지만 공개적인 교내보충수업허용등의 보완조치 필요성은 그만큼 커지고있다.
연령이 높을수록 과외는 계속 금지해야 된다는 의견이 높았고 연령이 낮거나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학교내의 보충수업 정도는 허용돼야 한다는 반응이 많았다.
도·농별로 보면 도시가 농촌에 비해 교내 보충수업 허용 요구가 많았다. 현행 교육정책에 대한 불만은 과외금지 정책보다는 입시제도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추첨에 의해 학교를 결정하는 현행고입제도 지지율은 21·2%, 전적으로 국가고사에 의존하는 대입제도에는 16·1%만이 찬성. 반면 고입에 있어 「자유로운 입시경쟁」을 원하는 응답자는 전체의 67%를 차지했고 대입제도에 있어서는「대학자율에 맡기자」는 응답자가 전체의 32·5%, 「학력고사를 치른후 대학자율에 맡기자」가 37·5%로 대학자율에 의한 자유로운 입시경쟁제도를 원하고 있다. 이와같은 현행제도의 개선을 요구하는 의견은 도시지역 거주 고학력·고소득층에서 특히 높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