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수의 묘살린『텃밭에서』…생략·압축 조화 이뤄|『바닷가…』는 상의 전개 무난하나 참신성 미흡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대체로 응모되는 작품에서 지적할 것은 단시간 내에 빚었다는 인상이 짙다. 적어도 당초의 상을 시조라고 하는 율속에 용해시켜 놓았다고 하자. 사실 이때부터가 시조 짓기의 첫 걸음이 되어야한다. 왜냐하면 이 단계부터 계속하여 상을 가다듬고 보완과 수정을 가해야한다.
이같은 공정이 길면 길수록 작품은 좋아지기 때문이다. 이른바 추고라고 말하는데 어떤 시인은 이같은 작업을 몇 해를 두고 한다고 들었다. 필자의 경험으로도 그러했다. 이 과정에서 시조는 변모와 승화를 거듭함으로써 시조는 물론 자기사고의 성장도 함께 병행되는 것이다. 「여기 내가 기를 울리면 기는 또 나를 울린다」는 어느 학생시의 한 귀절이 떠오른다. 그만큼 정성을 기울이는 시간이 필요한 것이다.
「텃밭에서」는 단수의 묘를 얻은 작품. 생략과 압축이 조화를 이루었다. 「할머니 허리께로 노을이 잦아들면」, 특히 종장의 「수화로 남겨진 말이 땅끝에서 젖고있다」는 빼어나다 하겠다.
「바닷가에서」는 상의 전개에 무리가 없다. 그만큼 능한 편이다. 다만 기발한, 그리고 참신성이 미흡한데 앞으로 압축하는 훈련이 뒤따라야 하겠다.
「선생님」은 스승을 향한 진실성이 내비치는 시조. 둘째 수에선 애절하기 조차하다. 역시 바람이 진실하기 때문에 실효를 거뒀다.
「강가에서」는 흔히 있을 법한 소재다. 무리가 없는 점으로 해 여러수 중 한수만 택했다. 종장을 곰곰 생각하여 쓰자.
「산묘」에선 담담히 서경을 노래했는데 아무래도 종장에서 따끔한 한마디는 있어야 하지 않겠는가. 너무 평이하다는 말이다.
「거울」에서 깨끗한 상의 전개가 마음에 들었다. 그만큼 억지가 없었다. 종장만 좀더 뒤집어(기교를 가미)맺었더라면 보다 좋은 작품이 되었을 것이라는 아쉬움이 남는다.
「풍경」에선 세편 중 풍경편만을 가려 뽑았다. 단수로서 상당한 묘미를 얻었다고 하겠다. 앞으로 언어의 선정에 많은 유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잊지 말도록.
「기우제」의 작품은 가뭄 탓이겠지만 비슷한 작품이 많았다. 뽑힌 까닭은 시의 내부에 결의 같은게 마음에 닿았기 때문이다. 앞으로 시의 기교에도 심혈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또 여기 굳이 적어둘 것은 정공량 등 여러분은 시조의 기본율격을 발표되는 시조를 통해 터득해주기 바란다.<이상범>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