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인위적 여대 만들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노무현 대통령의 잇따른 연정 발언에 대한 야당의 5일 공식논평은 '연정 불가'라는 한목소리다. 하지만 물밑에선 미묘한 온도 차가 감지된다. 특히 소연정의 대상으로 거론된 민주노동(민노).민주당과 대연정의 대상으로 꼽힌 한나라당의 입장은 크게 달랐다.

◆ 지켜보는 민노.민주=민노당은 윤광웅 국방장관 해임건의안 처리 때 열린우리당과 '투표 연정'을 했다. 연정 자체에 대한 거부감은 별로 없다. 연정 얘기가 구체적인 조건과 절차가 제시되지 않은 채 뜬금없이 나온 것만 문제삼았다.

심상정 원내부대표는 "(대통령이)'원론적 아이디어'라며 추상적인 원칙만 던져놓은 것은 무책임한 처사"라며 "어느 당과 어떤 정책적 공조를 할 것인지, 권력 구조 개편에 대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해야만 공론화가 가능하다"고 했다. 같은 당 노회찬 의원은 구체적인 조건을 제시했다. 노 의원은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서 "독일식 정당명부 비례대표제, 국가보안법 폐지, 비정규직 문제 등 민노당의 주요 정책이 수용된다면 정책 공조나 더 나아가 연정까지도 할 수 있다"고 했다. 열린우리당 문희상 의장은 "보안법 폐지는 연대해도 부유세 신설.주한미군 철수 등 민노당의 정책 중 수용할 수 없는 부분들이 분명 있다"고 했다.

민주당은 상황을 좀 더 보자는 쪽이다. 이낙연 원내대표는 "민주당은 민노당처럼 정책 등을 둘러싼 조건을 제시할 단계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대통령의 큰 그림은 야당에 각료직 몇 개 나눠주는 수준이 아니라 거대한 반대급부를 얻자는 것"이라고 했다.

◆ 한나라는 냉소=한나라당은 연정 발언을 '국면호도용 꼼수 정치'로 보고 말려들지 않겠다는 분위기다. 강재섭 원내대표는 "여당 의석이 과반에 3~4석 모자란다고 대통령이 엄살을 떤다"며 "야당과 정책공조는 이해할 수 있지만 대통령이 인위적인 여대(與大) 만들기에 나선다면 큰 악수가 될 것임을 경고한다"고 말했다. 고흥길 홍보위원장도 "연정 발언은 국방장관 해임안을 민노당과 야합 처리해 여론이 나빠지자 일시적으로 덮어보려는 호도책"이라고 주장했다.

박소영.김정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