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받은 광주 '희색' 도공 놓친 경남 '실색'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지역별로 희비가 엇갈렸다. 대형 기관 유치가 확정된 지역은 만족한 표정이지만 당초 계획대로 유치가 안 된 시.도는 "내년 단체장 선거를 앞둔 정치적 결정에 수긍할 수 없다"며 반발하고 있다.

한국전력 본사와 한전기공.한국전력거래소 등 2곳의 자회사가 이전할 것으로 확정된 광주시는 환영하는 분위기다. 광주시 신광조 기획관은 "한전 이전에 따른 지역경제 발전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돼 대체로 만족한 편"이라고 말했다. 광주시는 한전 이전으로 지역의 생산유발 효과가 연간 4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전북도는 여러 지자체에서 탐내던 토지공사가 배정된 것에 크게 고무돼 있다. 관광공사 등 그동안 심혈을 기울였던 기관 대부분이 이전 대상에 포함된 강원도도 희색이다.'한국 관광의 1번지'를 주장해 온 강원도는 제주도와의 경쟁에서 관광공사를 유치하는 데 성공함으로써 주력산업으로 삼고 있는 관광산업 발전에 탄력을 받게 됐다는 입장이다.

반면 기대했던 도로공사를 경북에 빼앗긴 경남도는 정부의 결정을 수용할 수 없다는 강경 입장이다. 도 관계자는 "반대 성명을 내고 서명운동도 벌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남도는 당초 기대한 대한주택공사 대신 농업기반공사가 배정됐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동요하고 있다. 전남도 이개호 기획실장은 "공공기관 이전이 정치적 의도에 따라 결정된다면 이는 결코 용납할 수 없다"며 강경한 입장이다.

'한국 관광의 1번지'를 자임해 온 제주도는 한국관광공사 유치를 추진해 왔으나 지난달 초 정부가 관광공사 등 10대 기관을 서울.충청.제주지역을 제외한 곳으로 배치키로 해 다소 맥이 빠져 있는 상황이다.

주택공사와 가스공사의 이전을 강력히 희망했던 대구시는 이들 기관이 이전하지 않을 경우 수용할 수 없다는 강경한 입장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정부가 한전과 주공.토지공사 등 4대 공공기관을 특정지역에 몰아주는 결과가 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충북도도 인근 충남엔 행정도시가 오는데 대형 기관 하나 유치하지 못한 데 대해 실망감을 감추지 못했다.

특히 부산의 경우 기대했던 토지공사가 전북으로 이전될 것으로 알려지자 수용 거부 입장을 밝히는 등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허남식 부산시장은 "공공기관 이전이 지역 여건을 고려하지 않은 채 시민의 바람을 저버리는 방향으로 결정될 경우 부산시는 결코 수용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시민단체들로 구성된 '공공기관 부산 유치 범시민사회연대'도 성명을 내고 "이전 발표를 며칠 앞두고 배치 기준을 갑자기 변경한 것은 상식적으로 납득할 수 없다"며 "그동안 진행된 절차와 합의를 무시하고 밀실에서 결정한 배치 기준은 특정 지역의 표심을 의식한 몰아주기에 불과하므로 용납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전국종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