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묶인 임금」대신 복지후생 늘려|일부기업, 「현물급여」로 실질소득보장 주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기업들의 봉급인상이 예년보다 무척 인색해진 가운데 현금대신 현물로 부촉한 봉급을 매워주려는 기업이 늘고있다. 이러한 기업의 현물급여 확대는 정부의 임금억제정책에 따라 봉급을 적게 올려주는 대신 다른 복지후생제도를 확충하여 종업원들의 실질소득감소를 막기 위한 것이다. 기업들은 이런 현물급여라도 늘리지 않으면 종업원들이 낮은 봉급인상율에 볼 메는 것을 설득할 수 없다고 보고있다.
그러나 이런 현물급여를 늘릴 여력이 있는 곳은 기업그룹 등 큰 기업 몇 군데여서 이를 할 수 없는 중소기업들은 걱정이 많다.
금년 기업그룹의 봉급인상률은 선경이 10%, 삼성·럭키·효성 각 9%, 현대·대우가 7%씩이다.
값이 오르는 것이라면 모조리 한자리 숫자로 늘려 보겠다는 정부의 방침에 따라 봉급생활자들도 올해에는 모두 7∼10%의 인상들에 만촉해야만 하게됐다.
그러나 실팍하지 못한 월급봉투에 지폐는 더 얹어주지 못하지만 아쉬운대로 직장주택조합을 통해 내집마련을 돕거나 사내 구판조직을 통해 자사제품은 물론, 일반 생필품까지도 싼값에 사주려는 몇몇 기업들의 성의가 눈에 띄고 있다.
특히 사원주택을 지어주는 일은 근로자들의 재산형성을 도와주고 또 주택경기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정부도 이를 지원,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