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승과 제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오는 15일을 「스승의 날」 로 지정, 학교별로 스승의 은공을 기리는 조촐한 기념행사를 갖자는 운동이 책소년적십자중앙협의회가 주동이 되어 벌어지고 있다.
스승 경친풍조의 만연, 교육의 중요성과 구육자의 권위·존엄성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부족, 구권부재등으로 교사들의 사기가 크게 떨어져 있는 현실에서「스승의 날」을 되살리자는 움직임은 흐뭇한 일이다.
예부터 우리나라에선 「군사부일체」라해서 스승의 은혜를 어버이의 은공과 같이 여기라고 가르쳐 봤다. 스승의 그림자도 밟아서는 안된다고도 했다.
물론 오늘날의 스승과 제자의 관계가 이러한 전시대적인 인간관계에 머무르고 있지도 않으며, 또 그래서도 안된다. 청빈과 고고한 몸가짐으로 제자에게 일방적인 감화를 줄 수 있다고 생각하던 교사관이나 그들을 마치「성자」연하던 교사성직관이 무뎌진지는 오래다.
오늘의 교사들에게 요구되는 것은 고도의 전문지식과 이를 전수할 수 있는 탁월한 기술이다. 이른바 「교직의 전문생」 이 그것이다.
그러나 교육이란 결코 지식의 전수나 소정수업연한을 채운 학생들에게 기계적으로 졸업상을 주는 대운생산과정 일 수는 없다. 세련된 교수법이나 훌륭한 시설만으로 교육이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현대적 의미의 사제관계는 옛날처럼 스승의 일방적인 감사에 의해 무조건 복종하는 식이 아니라 상호간의 인격적 접촉과 자유로운 토논을 통한 상호계발의 인간관계를 제고시키는데서 잦아야 한다.
우리나라 교사들에 대한 처우나 사회적 지위가 형편없다는 것은 다 아는 사실이다. 그래서 기회 있을 때마다 처우를 개선하고 교육자를 순중하는 풍토가 조성되어야 한다는 소리가 높았다. 지난주의「교육주간」에서 특히 강조된 것도 이점이었다.
떨어질대로 떨어진 구사들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서 급여상의 처우도 개선해야겠지만, 이에 못지않게 중요한것은 교사들의 긍지와 자전심을 높여주어 교직에 대한 사명감을 지닐수 있도록 사회적 풍토를 조성해주는 일이다.
학생들이나 학부모들이 교사를 경친하는 풍조속에서 교육이 제대로 될리가 없다는 것은 분명하다. 하루만이라도 스승의 은공을 가슴에 새기게 하는것은 그래서 뜻깊은 일로 여겨지는 것이다.
58년에 생겼던 「스승의 날」 은 73년3월 정부의 각종기념일에 관한 규정을 제정할 때 그 폐지가 논의되었고 그후 이른바「서정쇄신」방침에 따라 완전히 폐지되었다. 「스승의 날」 이 부도덕으로 평가된 것은 참 아이러니컬한 일이다.
일부 학부모들의 극성으로「스승의 날」이 본래의 뜻을 벗어나 각종 부작용을 일으켰다. 뿐만아니라 학생들의 선생을 보는 눈은 존경은 커녕 도리어 우습게 여기도록한 역작용마저 했음은 부인하기 어렵다.
「스승의 날」 행사가 형식에 치우치고 갖가지 말썽을 일으켜 폐지된데는 제일 큰 원인이 일부 학부모들의 극성에도 있었지만 교사들에게도 책임이 없지 않다.
학부모가 자주 찾아오고 선물을 하는 학생들을 편애하지는 않았는지 이기회에 진지한 자기반생도 해야할 것이다.
「스승의 날」을 되살려 학생들로 하여금 스승의 은공을 기리게 하는 일은 원칙적으로 좋은 일이다. 다만 이날이 「돈걷는 날」 로 여겨져 스승에 대한 존경심에 오히려 먹칠을 하는 결과를 빚어서는 안된다.
우리는 청소년들의 자발적인「스승의 날」 부활 움직임을 반기면서 이 운동이 교육풍토 개선뿐 아니라 사제관계의 새로운 모럴확립에도 기여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