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ssia 포커스] 러시아, 서방의 제재에 한국·중국 동참 여부 촉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3면

러시아는 한국과 중국이 미국의 대러 제재 블록에 들어갈 것인지 관심이 크다.

 일단 한국과 중국이 강경 조치를 거부한다는 쪽으로 보고 있다. 대니얼 프리드 미국 국무부 제재 문제 조정관이 리투아니아 포털 사이트 Alfa.lt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한국, 싱가포르와도 대화를 하고 있으며 중국과도 협의를 했다. 이런 논의가 러시아와의 신냉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며 “미국과 러시아가 결국은 더 건설적인 관계로 돌아갈 것으로 희망한다”라고 한 말에 의미가 있다고 본다.

 서울을 방문한 피터 하렐 국무부 부차관보를 맞은 한국 측이 “군사·정치 동맹국인 미국과의 관계도 중시하지만, 여러 분야에 걸쳐 역동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러시아와의 협력도 높이 평가하고 있어 대러 강경 제재 국가들의 선봉에 나설 뜻이 없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현장에서도 ‘조심스러운 입장’이 제기된다. 로시스키야 가제타에 따르면 모스크바 주재 한국 기업에 근무하는 원석종씨는 “한국은 대러 제재에 관심이 없다. 더 정확히 말하면, 한국은 이 문제에 개입하려 하지 않는다. 러시아와 한국도 친구이고, 우크라이나와 미국도 친구지만, 한국과 미국도 친구이기 때문이다. 나는 지금 러시아에 살고 있어 이 문제에 관해 알고 있지만, 한국에 있는 사람들이 현 상황을 파악하고 있는지는 확실히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더 솔직히 평가한다. 익명을 요구한 한국의 한 국책연구소 연구원은 ‘로시스카야 가제타’에 이같이 밝혔다. “박근혜 대통령은 러시아의 참여 없이는 무의미한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를 핵심 추진 전략으로 설정해 놓고 있다. 또 러시아의 역할이 중요한 북한 변수도 있다. 러시아와 활발하게 협력하고 있는 한국 기업 중에서 정치 싸움에 말려들고 싶어 하는 기업은 없다. 따라서 모든 요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지만 어느 경우든 대러 제재에 특별히 속도를 내는 건 우리에게 무의미한 일이다. 유럽 내 미국의 많은 동맹국이 입으로는 똑같이 말하지만, 행동에서는 러시아와 체결한 자국의 거래와 계약을 서둘러 파기하지는 않고 있다.” 따라서 미국도 ‘큰 틀에서 미국과 공조하는 것’ 외에 특별한 것을 한국에 요구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러시아는 보고 있다.

 중국은 대러 제재를 전면 거부한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우크라이나 위기는 정치적 해결을 요구한다. 제재로 해결하지는 못한다”고 이타르타르 통신에 밝혔다. 이에 앞서 독일 주재 스밍더(史明德) 중국 대사도 “우리는 제재에서 어떤 의미도 찾지 못한다. 제재는 대응조치를 유도하는데 그렇게 되면 악순환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정치학자 알렉세이 마카르킨은 경제정보지 ‘프라임’과의 인터뷰에서 “중국은 대러 제재에 합류하지 않겠지만 단호히 거부하지도 않을 것”이라며 “미국은 중국이 러시아 시장에서 미국의 대체국가가 되길 바라지 않는다. 중국은 이런 상황을 교묘히 이용할 것이고 특정 문제들에서 미국의 이익도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엘레나 김, 올레크 기리야노프

본 기사는 [러시스카야 가제타(Rossyskaya Gazeta), 러시아]가 제작·발간합니다. 중앙일보는 배포만 담당합니다. 따라서 이 기사의 내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러시스카야 가제타]에 있습니다.

또한 Russia포커스 웹사이트(http://russiafocus.co.kr)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국 "강경 제재 앞장설 뜻 없다"
중국 "제재로 문제 해결하지 못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