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전망, 내년에도 어둡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연율 40%에 이르는 이례적인 금년중의 통화증발과 함께 내년 초로 이월시킨 공공요금 및 「에너지」가격 조정으로 내년의 물가는 「코스트·푸시」요인과 과잉유동성이 상호작용, 어려운 국면으로 빠져들 전망이다.
14일 관계당국에 의하면 통화량의 팽창에도 불구하고 올해 물가를 10%선에서 억제시킴으로써 초과 통화공급에 따른 물가 상승 요인의 내년 이월만도 3%가 넘을 것으로 추계되고 있다. 이에 덧붙여 내년 1월부터 3월까지 2천 7백억원의 추곡자금이 방출되고 금년에서 이월된 정부 공사자금 방출 등이 연초에 집행될 예정이어서 통화공급은 내년 초에 가서도 이례적으로 증대될 것이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초과수요현상이 일층 촉진될 것이 우려되고있는 가운데 정부는 내년 초 철도요금 30%인상을 비롯한 교통요금과 수도요금 등 공공요금, 석탄가격·유류가격·전기요금 등 물가의 태풍의 눈 구실을 하고 있는 기초 「에너지」가격의 인상을 계획하고 있어 물가 불안은 고조되고 있는 형편이다..
특히 전체공산품에 광범한 파급효과를 미치게 될 유류가격은 OPEC(석유수출국기구)의 내년도 유가인상여부가 유동적이지만 대내적으로 ①정유 3사가 경영적자를 내세워 가격인상을 끈질기게 요구하고 있고 ②비축시설 확충 등을 위한 석유사업기금 조성을 위한 가격 인상요인이 도사리고 있다.
또 전기요금도 유가인상과 함께 한전의 경영개선을 위해 인상폭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기초「에너지」가격이 오르면 이제까지 정부의 행정지도에 묶여 억제되어 왔던 주요 공산품 가격이 일제히 들먹일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정부는 물가의 장기간 억제가 업계의 투자의욕을 저해하는 등 부작용을 가져온다는 데서 이를 시장기능에 맡길 방침으로 있으며 최고가격을 연내에 대폭 해제할 방침으로 있어 물가전망을 더욱 어둡게 하고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