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괴의 표 대결 기도 사전 봉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는 내년 「유엔」총회에서는 남북한 대결을 회피하는 소극적 방법을 지양, 북괴의 표 대결 기도를 사전에 봉쇄하는 적극적 방법을 추진키로 기본 방향을 세워 조기 외교 활동을 전개키로 했다.
외무부는 북괴가 올해 「유엔」총회에서의 안건 자진 철회에도 불구하고 내년 제32차「유엔」총회에서 또 다시 대결을 위한 도전을 해 올 것으로 분석, 4자 회담의 후속 조치를 취해 북괴를 대화 「테이블」로 유도하고 비동맹과의 쌍무 외교를 통한 북괴 지지 기반 약화 및 온건적인 북괴 동조국에 대한 외교 활동 강화 등의 계획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동진 외무부 장관은 20일 이와 관련, 『내년도 「유엔」총회에 대비하여 정부는 공관장회의를 앞당겨 개최하고 미국·일본 등 우방들과의 협조 방안도 서둘러 협의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외무부는 2월과 3월 사이에 미주 공관장회의와 구주 공관장 회의를 현지에서, 아주 및 「아프리카」 공동 공관장 회의를 서울에서 개최할 계획이며 박 장관과 「사이러스·밴스」 차기 미국무장관의 회담이 조기 실현되도록 노력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외무부는 「유엔」대비 조기 활동의 하나로 지난 11월 말「세네갈」 「아이버리코스트」 「가봉」 「카메룬」 「이집트」 「수단」 「이디오피아」 「케냐」 「우간다」 등 「아프리카」 국가에 실무 간부를 순회시켰다.
정부는 한국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휴전협정 당사자간의 합의를 계속 주장, 남북한불가침협정 체결 제의를 더욱 구체화하고 북괴의 「유엔」군 사령부 해체 주장에 대비, 「유엔」군사 개편안 등의 구체적인 대안을 아울러 적극적으로 모색할 것으로 알려졌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