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의지양" 우리주장 관철된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한국문제에 관한 공산측의 「유엔」결의안이 철회된다면 금년도 「유엔」총회의 한국문제처리는 지난 73년 제28차 총회가 결의안을 통과시키지 않고 합의성명을 채택할 것과 같은 양상이 된다.
공산측 결의안이 철회됨에 따라 서방측결의안도 뒤따라 철회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작년 「유엔」총회가동 문제에 관한 상충된 2개 결의안을 통과시킨 이후한국정부는 「유엔」에서의 토의지양을 기회있을 때마다 우방동조국은 물론 북한지지국가들에도 주장해왔다.
73년 제28차 「유엔」총회는 27개국의 공동제안으로 제출된 서방측안과 35개국이 내놓은 공산측 안의 심의를 남북대화의 조성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합의성명을 채택했었다.
금년에는 공산측안 철회에 이어 서방측 안의 철회가 운영위원회 개최 이전에 이루어질 경우 원칙적으로 의제가 없어진 결과가 되므로 합의 성명 등 「유엔」의 실질적인 토의 및 태도표시는 없을 것 같다.
한국문제를 국제무대에 내놓음으로써 궁극적으로 주한미군의 존재를 부각시켜 철수를 관철하려던 북괴가 결의안을 돌연 철회한 이유는 아직 불분명하다.
그러나 외교 「업저버」들의 추측으로는 ①서방측 안의 논리가 합리적이며 ②반면에 북한이 비동맹정상회의에서 그들의 정치기도를 실현하지 못했고 ③「유엔」총회운영위원회의 구성이 극도로 불리하게 되는 등 「유엔」분위기가 나쁘게 나타난 점이 꼽혀지고 있다.
북괴측 결의안 철회이후의 우리측 조치는 미일 등 우방제국과의 일련의 협의끝에 조만간 결정될 것이라고 소식통은 전했다. 【한남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