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가 공해업소 이전 늑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서울시가 내년에 이전키로 한 주택가 공해업소 선정을 늦추고 있어 당초 계획했던 공해방지 행정이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서울시는 주택가에 들어선 공해업소 1천89개소를 오는 80년까지 5년 동안 모두 시계의 지역과 지방공업단지로 강제 이전키로 하고 이중 1백73개소를 내년도에 이전키 위해 지난해 말까지 대상업소조사를 끝냈으나 10개월이 지나도록 업소를 확정짓지 못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이전대상 업소들의 강한 반발 때문에 빚어진 것으로 이전대상 업소인줄 모르고 공장을 살 경우 재산상 큰 피해를 입을 우려도 큰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구자춘 서울시장은 지난 8월 공해업소 이전계획을 발표하면서 내년도 이전대상 업소를 곧 공개하겠다고 밝혔는데도 시 환경당국은 업소를 공개하면 큰 부작용이 일어난다는 등의 이유로 아직 이전대상 업소를 확정짓지 못했다는 것.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이전업소 선정과정에 압력과 정실 등으로 어려움이 크며 또 업소 측이 공장을 팔 때 최대한의 이익을 볼 수 있도록 명단공개를 보류하고 있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