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가을의 멋…바바리·코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날씨가 서늘해지면서 거리에 긴 소매의 가을 옷이 늘어났다. 지금부터 아주 추워지기 전까지 편하고 멋있게 입을 수 있는 옷이 「바바리·코트」다. 「디자이너」 박윤정씨에게서「바바리·코트」의 올해의 경향을 들어 보았다.
「바바리·코트」 는 본래 영국 「바바리」(Bubary) 기성복사에서 만든 「코트」를 가리킨다 .상품명이 우리나라에 건너와서 일반 명사처럼 쓰여진 것이다.「코트」지로는 「캐버딘」두꺼운 무명 외에 모직도 좋지만 값이 너무 비싸다. 대신 「코르덴」이나「진」·특수처리한 면 등을 이용해도 훌륭한 「바바리·코트」가 된다. 또 안에 누비나 인조모의 안감을 「지퍼」로 연결해 대면 겨울까지 계속해서 입을 수 있다 .이때 주의해야할 점은 간단하고 풍성한 「디자인」을 해야 양쪽 용도에 다 무리가 없다는 것이다.
「바바리·코트」의 빛깔은 무엇보다도 싫증이 나지 않는 것이라야 한다.「베이지」색·감색·검정·고동색·희색 등이 「바바리·코트」로 가장 무난한 것들이다.
「디자인」은 아직도 「테일러·칼러」 「요크」 「벨트」의 전형적 「스타일」이 많이 입힌다. 올해의 특별한 유행이라면 전체적으로 날씬해 보이는「스타일」에 소매가 넓어졌다는 점이다. 여름 「원피스」가 그랬던 것처럼 목이나「요크」선에서 주름을 잡아 헐렁하게 보이게 하는 것도 올해의 유행이다. 길이는 무릎아래정도가 안정성이 있다.
「투피스」나 두꺼운 옷감의 웃옷을 입고 「코트」를 입으면 어깨나 팔을 움직이기가 둔하다. 이런 불편을 막기 위해서 「망토·스타일」 의 「코트」를 권할만하다. 그러나 복잡한 우리나라의 거리에선 좀 거추장스러워 많이 입혀지진 않는 셈.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