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가루 값 소폭 인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국제 원 맥 가격상승에 따른 원가압력으로 제분업계에 대해 간접지원과 밀가루 값 인상허용문제를 검토하고 있는 정부는 우선 간접지원으로 원가상승요인을 최대한「커버」해 주고, 간접지원으로「커버」가 안 되는 원가상승요인만을 인정, 밀가루 값 인상을 소폭 적으로 허 영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11일하오 태완선 경제기획원장관은 제분업계가 신청한 1백2억 원의 특별 대환이 전액 실현되도록 조치하는 등의 간접지원을 우선 강구할 것이나 이러한 간접지원만으로는 원가상승요인을 모두「커버」할 수 없다고 밝힘으로써 금명간 밀가루 값의 소폭인상이 단행될 가능성을 비쳤다.
만약 밀가루 값의 소폭인상이 단행되면 지난 8월5일 수준으로 묶여있는 공산품가격이 부분적으로 해제되는 셈인데 태 장관은 이날 정부의 물가안정대책이 개별가격에 대한 계속적인 동결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년간 물가상승폭을 3%이내에서 억제하려는 것인 만큼 이 범위 안에서 일부품목의 등락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런데 제분업계에 대해 1백2억 원의 특별 대환을 실시, 년간 10억 원 이상의 이자부담을 경감시킨다해도 국제 원 맥 가격이 30%나 올라 년간 소맥도입액이 물량의 증가 없이도 1억불수준에서 1억3천불대로 올라가게 되어 원가부담은 원 화로 1백20억 원에 이르고 있어 간접지원방식만으로는 원가상승요인을「커버」해줄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정부는 밀가루 값의 인상이 불가피한 것으로 인정은 하고있으나 8·3물가동결조치에 묶여있는 다른 공산품에 대한 영향과 내년도 양곡정책상에서 쌀값 인상을 억제하고 밀가루 값을 인상하게 되면 분식장려에 의한 쌀 소비억제에 역행한다는 근본적인 문제들 때문에 고민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