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기 몸부림…세법 배수진|「삼학」납세필증 위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삼학」산업의 위조 납세필증 사용 사건은 회사의 기반을 굳히기 위해 배수진을 친 결과였다. 10여일 전 전 삼학 산업 직원과 4천여 만원 어치의 주정을 납품했다가 대금을 받지 못한 업자가 증거물인 위조 납세필증과 삼학 대 왕표 청주를 들고 영등포 지청 장을 방문, 상세한 제보를 할 정도로 납세필증 위조사건은「알려진 비밀」이었다고 한 수사관은 말하고 있다.
4천여 만원의 빚을 받지 못해 가산을 탕진하게 된 이 채권자는『너 죽고 나죽자』는 심경으로 삼학 산업의 납세필증 위조를 제보했다는 것이다.
지난 29년 목포에서 설립된 후 52년 현 사장 김석후가 인수하면서 발판을 굳힌 삼학 산업은 60∼65년의 전성기를 맞기도 했으나,「라이벌」회사들과 거액 사은권 대매출 등으로 과당경쟁에 밀려 사세가 기울기 시작했다.
작년 6월에는 3억여원의 부도를 냈으며 이를 수습하기 위해 지난 2월에는 목포공장을 박수호 씨에게 넘겼고 하루 6천상자의 매상고가 1천2백 상자로 줄어들었다. 이 같은 상황에서 기우는 사세를 확장하기 위해서는 탈세를 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는 수사관들의 분석이다.
검찰은 서울공장(영등포구 신대방동)의 생산품 중 30% 정도만 세금을 내고 나머지는 위조된 납세필증을 붙였을 것으로 보고 지난 2년 동안의 탈세액이 무려 억대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1개 회사의 탈세사건을 수사하는데 5명의 검사가 동원된 것은 목포출신의 야당 K의원과 연고관계가 있기 때문이 아니냐는 이야기가 자자했으나 검찰은『대리점과 수사대상이 많기 때문이었다』고 해명하고 있다.
김 사장의 아들이 현직 검사이며 대검 모 검사와는 인척관계에 있었는데도 서울지검의 검사와 40여명의 수사관이 동원된 것은 이례적인 수사였다.
아무튼 이번 사건으로 추징이나 벌금을 물게 되면 삼학 산업은 치명적인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