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반성통해 인수위 새모델 나와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0면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사실상 활동을 종료했다. 인수위는 54일간의 작업을 통해 노무현 정부의 국정운영 밑그림을 그려냈으나 활동과정에서 시행착오와 잡음 역시 적지 않았다.

인수위는 인수위법에 의해 새로 당선된 대통령으로 하여금 국정을 파악할 수 있게 돕고 새 정부 출범을 준비하는, 말 그대로 정권교체에 따른 행정부 업무 인수를 담당하는 임시기관이다.

그러나 이러한 인수위가 그 이름에 걸맞은 역할을 했는지를 돌아보아야 한다. 이번 인수위는 이제 그 임무를 끝내고 해체되지만 5년 뒤 다시 새 정부를 위해 인수위가 구성돼야 하기 때문이다. 5년 뒤에 구성될 또 다른 인수위를 위해서도 이번 인수위의 활동을 평가하고 넘어가야 한다.

우선 인수위의 임무 범위가 어디까지냐에 대한 명확한 경계가 있어야 한다. 인수위는 무엇이든 다 할 수 있다는 식으로, 전(前) 정부가 수년에 걸쳐 추진하거나, 고심 끝에 결정한 사항들을 바꾸고 백지화할 수 있느냐는 점이다.

3년여의 여론수렴과 입법예고를 거친 외국인학교 입학 완화를 백지화하고, 경인운하를 백지화했다가 뒤집는 등 인수위가 무소불능의 권한을 가진 것처럼 행동한 것은 잘못이다.

그러니 일부에서 "인수위가 점령군처럼 행동한다"는 비판을 들은 것이다. 과욕과 미숙으로 빚어진 실수 역시 적지 않다. 새 정부의 철학과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정부 부처의 업무보고 청취를 거부한 일이나 화폐단위 변경 발표 후 취소하는 등 본연의 임무를 이탈한 경우도 있었다.

인수위원이 포함된 북핵 관련 특사외교는 단원 간에조차 말이 맞지 않아 아마추어라는 비판을 받았다. 이런 실수나 과욕들이 누적돼 인수위가 새 정부에 대한 국민적 희망을 만들어 내기보다는 오히려 불필요한 불안감을 조성한 면 역시 부정할 수 없다.

사실 노태우 정부 이래 네번째 인수위의 경험이 있으나 아직 모범적인 모델은 나오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번에 잘된 것과 시정할 것을 취합해 5년 뒤의 인수위는 어떻게 할지에 대한 새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