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경제 용어] 회사채(Corporate Bonds·會社債)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10면

금융위원회가 지난 8일 “산업은행을 통해 신용등급이 낮은 회사가 발행한 회사채 4조원어치를 매입하겠다”는 내용의 ‘회사채 시장 정상화 방안’을 내놨습니다. 회사채가 뭐기에 정부까지 나선 것일까요.

 기업을 운영하다 보면 돈 들어갈 일이 많습니다.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최신 기계를 사 와야 하고, 사업 확대를 위해 공장 부지를 매입해야 할 일도 있습니다. 이럴 때 기업들이 경영자금을 조달받는 통로는 대개 두 가지입니다. 우선 하나는 주식 시장입니다. 주식을 발행해 더 많은 사람을 회사의 주인으로 모시는 대신, 이 사람들이 주식을 매입해 투자를 하는 거지요. 그러나 주식이 팔린다는 보장이 없고, 너무 많이 발행할 경우 경영권에도 영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기업들은 자금 조달의 다른 방법으로 채권을 발행합니다. 채권은 일종의 차용증서입니다. 발행을 누가 하느냐에 따라 국가가 발행하는 ‘국채’, 지방자치단체가 발행하는 ‘지방채’, 특별법인이 발행하는 ‘특수채’, 금융기관이 발행하는 ‘금융채’ 등이 있습니다. 주식회사가 발행하면 이를 ‘회사채’ 또는 ‘사채’라고 부릅니다.

 회사채에는 지급할 이자, 만기일, 만기일에 지급할 원금 등이 표시돼 있습니다. 만기는 대개 3년인데 기업은 채권을 사간 이에게 3개월 단위로 이자를 지급하다가 만기가 돌아오면 채권 액면에 쓰인 금액만큼을 주고 이를 되사와야 합니다. 회사채를 일반 대중을 상대로 발행하면 ‘공모’, 자금이 풍부한 특정 개인과 개별적으로 접촉해 매각하면 ‘사모’라고 합니다.

 회사채를 발행해도 일반 대중이나 자본가가 매입에 나서지 않으면 기업은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투자자들은 이자에 원금까지 고스란히 받을 수 있을 만큼 장래성이 밝은 회사의 채권만 사려 합니다. 더구나 요즘처럼 경기가 안 좋을 때는 불확실한 회사의 채권 매입에 나서기를 꺼립니다. 기업 실적이 좋아진다고 확신할 수 없기 때문이지요. 그러니 가뜩이나 어려운 기업 입장에서는 자금난으로 또 한번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정상화 방안을 발표하면서 “접시를 닦다가 접시를 깨는 경우라면 면책해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부도 위험이 좀 있는 회사라도 자금을 못 구해 경영이 위축되지 않도록 정부가 회사채 매입으로 돕겠다는 의지의 표현입니다.

박태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