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은 이런 정부를 바란다] 여론 주도층서 정치개혁 요구 더 높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정치개혁에 대한 요구는 '전통적 의미의 여론 주도층'이 일반 국민보다 더 강한 것으로 조사됐다. 정치가 먼저 개혁돼야 노무현(盧武鉉)정부의 다른 개혁정책도 성공할 수 있다는 견해다.

이는 盧당선자가 지난달 18일 TV토론에서 "정당이 투명하고 민주적일 때 그 사회와 정치도 그렇게 된다"며 정당개혁 우선 추진 의사를 밝힌 것과 맥을 같이한다.

전통적 의미의 여론 주도층이란 의사.변호사.기업인.언론인.공무원.학자.정치인 등으로서, 인터넷 시대를 맞아 영향력은 감소했지만 그래도 일반인보다는 여론에 영향을 미치는 계층을 의미한다.

이들의 절반이 넘는 52.8%가 새 정부의 최우선 개혁분야로 '국내 정치'를 꼽았다. 이는 일반 국민 34.5%에 비해 훨씬 높은 수치다.

민주당 개편에 대해서도 여론 주도층이 더 적극적이었다. 응답자의 58.1%가 '민주당은 새로운 당을 만드는 수준으로 대폭 개편해야 한다'고 답했고 '해체하고 신당을 창당해야 한다'도 15.0%에 달했다.

일반 국민은 '대폭 개편'이 37.3%에 그쳤고 '신당 창당'은 11.8%였다. 이는 노무현 정부와 김대중(金大中) 정부의 연관성에 대한 시각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여론 주도층의 54.6%가 '김대중 정부의 연장'이라고 응답, 38.8%만이 같은 대답을 한 일반 국민과 차이를 보였다. 일반 국민의 경우는 '김대중 정부와 별개'라는 판단을 내린 사람이 49.1%나 됐다.

盧정부의 정책.노선에 대해서는 여론 주도층의 83.5%가 '김대중 정부보다 진보적'이라고 대답해 일반 국민의 66.8%를 크게 앞질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