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한국·모잠비크 오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박근혜 대통령이 4일 오전 청와대에서 아르만두 게부자 모잠비크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열었다. 요웨리 무세베니 우간다 대통령(5월 30일)과의 회담에 이어 두 번째다.

 모잠비크와 수교 20주년을 맞아 열린 이날 회담에서 박 대통령은 통상·투자, 에너지 자원, 새마을운동, 개발협력, 공적개발원조(ODA), 국제무대에서의 협력방안 등을 논의하고 오찬을 함께했다. 박 대통령은 “우리나라는 1960년대와 70년대 아프리카 등에서 도입한 품종을 기반으로 통일벼를 개발하고 새마을운동을 통해 농촌을 개혁함으로써 식량자급에 성공할 수 있었다”며 “이런 한국의 농촌발전 경험과 새마을운동 정신은 모잠비크 발전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회담에서도 “한국 모잠비크 오예(oye)”라며 현지에서 쓰이는 말로 건배사를 했다. ‘오예’는 모잠비크에서 ‘만세’ 정도의 뜻으로 쓰이는 말이다. 게부자 대통령도 “모잠비크 코리아 프렌드십 오예”(모잠비크와 한국의 친선 만세)라고 화답했다.

 모잠비크는 우간다와 함께 북한과 관계가 돈독한 국가다. 박 대통령은 이를 의식한 듯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구상을 설명하고 모잠비크의 협력을 요청했다. 박 대통령은 “북한이 개혁의 올바른 방향으로 변화하도록 국제사회가 한목소리를 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게부자 대통령도 “앞으로 정치적으로나 외교적으로나 양국 간 협력관계가 좀 더 발전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공감을 표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박 대통령의 연이은 아프리카 국가 정상들과의 회담은 북한을 감안한 면이 있다”며 “외교적으로 북한이 수교하고 있는 제3세계 국가와의 관계 개선을 통해 국제사회에서 대북 공조를 이루려는 목적이 있다”고 설명했다.

강태화 기자

◆모잠비크=연 7%의 성장세를 보이는 아프리카의 신흥 유망국가다. 한국이 100년간 쓸 수 있는 35억t의 천연가스가 매장돼 있다. 북한은 모잠비크의 독립과 동시에 1975년 외교관계를 수립하고 상주 공관을 설치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