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전투표, 효과 더 높이려면 휴일 실시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0면

4·24 재·보선을 앞두고 처음 실시된 사전투표가 유권자들에게 기대 이상의 호응을 얻었다. 지난 19~20일 사전투표 결과 국회의원 3개 선거구의 투표율이 평균 6.93%에 달했다. 기존 부재자투표 투표율의 3~4배쯤 된다. 부재자투표와 달리 별도의 신고절차 없이 쉽게 투표할 수 있었기 때문인 듯하다.

 투표는 민주주의 구현의 핵심 수단이다. 그런데도 특히 재·보선의 투표율은 유권자들의 관심 밖으로 밀려나면서 바닥을 기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2000년 이후 치러진 23번의 재·보선 투표율은 평균 33.81%에 불과하다. 이에 비춰 불과 이틀간의 사전투표에서 7% 가까운 투표율이 나온 것은 매우 고무적이다. 선거일에 투표소에 가기 어려운 유권자들이 앞당겨 사전투표를 했을 터이니, 전체 투표율은 과거에 비해 상당히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사전투표가 활성화할 경우 재·보선뿐 아니라 국민적 관심도가 높은 총선과 대선의 투표율도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야권은 지난해 대선을 앞두고 자신의 지지기반인 젊은 층과 비정규직들의 투표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투표시간 연장을 주장한 바 있다. 하지만 심야 투·개표 업무 부담 등을 고려하면, 그보다는 새로 도입된 사전투표제가 보다 현실적인 대안이다.

 더 보완해야 할 점도 있다. 특히 ‘선거일 전 5일부터 2일간’으로 돼 있는 투표일 규정이 그렇다. 주요 선거는 수요일에 치러지므로 현재의 규정대로라면 이틀간의 사전투표일 중 하루는 평일인 금요일에 할 수밖에 없다. 직장인에겐 일하는 날 투표소에 간다는 게 쉬운 일이 아니다. 이번 사전투표에서도 금요일인 19일보다 휴일인 20일의 투표율이 훨씬 높았다. 유권자의 참여를 촉진한다는 취지를 살리려면 사전투표일을 아예 토·일요일로 지정하는 방안도 고려할 만하다. 물론 제도를 어떻게 바꾸든 선거에 관심이 없고, 투표할 의향이 없는 유권자들을 투표소로 이끌어내는 데는 한계가 있다. 유권자의 자발적 투표를 촉진하는 근본적인 처방은 역시 국민 눈높이에 맞는 정치 선진화요, 정치쇄신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