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팸메일 등 영리성 광고 급증

중앙일보

입력

정보통신부가 최근 무분별하게 범람하고 있는 스팸메일 등 수신인이 원하지 않는 영리성 광고정보에 대해 강력한 대응책을 마련하고나섰다.

초고속인터넷의 발전과 더불어 e-메일, 휴대폰 등 다양한 유형의 정보통신 서비스가 값싸고 편리한 마케팅 수단으로 떠올랐으나 스팸메일 등 수신자가 원하지 않은광고성 정보로 국민의 프라이버시가 심각하게 침해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수신자의 의사와 무관하게 일방적으로 전달되는 광고성 전자우편을 의미하는 스팸메일의 범람은 심각한 수준에 도달해 있다는 것이 정통부의 판단이다.

한국정보보호진흥원이 지난해 11월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e-메일 이용자가 1주일에 수신하는 스팸메일 건수는 평균 32.65개로 16.87개였던 2000년에 비해두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팸메일의 유형은 일반상품 및 서비스홍보가 52.8%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음란성 정보 18.5%, 경품 및 돈벌기정보 14.3%, 불법복제 소프트웨어 판매 12.4%의 순으로 조사됐다.

e-메일 주소는 대부분 e-메일 추출기를 사용해 인터넷상에서 수집하고 있으며기타 전문 판매업자로부터 건당 10원씩 구매하거나 도용하는 등 부정한 방법으로 취득했으며 발송자는 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해 자동발신프로그램을 이용해 무작위로대량 전송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연합뉴스) 류현성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