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국제업무지구 새 국면…정상화까지는 난항

조인스랜드

입력

업데이트

[황정일기자] 서울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을 두고 사업자간 벌어진 경영권 싸움이 일단락됐다. 그러나 넘어야 할 산이 많아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기까지는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

국제업무지구 개발 주체인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이하 드림허브)의 2대 주주(15.1%)인 롯데관광개발은 28일 “사업 성공과 통합 개발 대상지 서부이촌동 주민 피해를 막기 위해 4조원대의 유상증자 등 코레일의 모든 요구를 수용키로 했다”고 밝혔다.

롯데관광개발은 드림허브를 대신해 실질적으로 이 사업을 벌이고 있는 용산역세권개발(주)의 지분(총 70.1% 중 45.1%)도 코레일에 넘길 예정이다.

드림허브 지분 25%를 갖고 있는 1대 주주 코레일은 최근 롯데관광개발 등 29개 민간 출자사에 ▶자본금 유상증자(1조원→5조원) ▶롯데관광개발의 경영권 반납 ▶단계적 개발 등을 요구했었다.

코레일, 돌연 입장 번복

다른 민간 출자사도 이날 오후 이사회를 열고 코레일의 요구를 모두 수용키로 했다. 드림허브는 오는 12일까지 59억원의 금융이자를 내지 못하면 부도나는데 수중에 쥔 돈은 수억원 정도다. 하지만 당장 돈 나올 구석은 없다. 이런 절박함이 롯데관광개발 등 민간 출자사를 압박한 것이다.

그러나 사업이 정상화할 지는 의문이다. 당장 이달 부도 위기를 면할 수 있을 지도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코레일이 민간 출자사가 유상증자를 받아들이면 긴급 지원하겠다던 랜드마크 빌딩 선매입 계약금 4150억원 지원 시점을 유상증자 뒤로 미뤘기 때문이다.

코레일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협력한다는 차원의 구두 약속을 더는 믿을 수 없다”며 “민간 출자사의 유상증자가 선행돼야 긴급 자금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민간 출자사가 감당해야 할 유상증자 규모가 1조4000억원에 달해 상황이 만만치 않다.

유상증자 가능 여부를 떠나 시간도 없다. 드림허브 관계자는 “1조원대의 유상증자는 초일류 회사라고 해도 몇일 내에 쉽게 결정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라며 “12일까지 유상증자를 하라는 코레일 측 주장은 말이 안된다”고 말했다.

한 민간 출자사 관계자도 “유상증자 등을 받아들이면 긴급자금을 지원하겠다던 입장을 돌연 바꾼 것은 민간 출자사를 기만하는 행위”라며 “코레일은 사업 정상화 의지가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제-재배포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