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가격 반등, 가계부채 해결에 달렸다

조인스랜드

입력

[조인스랜드 취재팀기자] 주택가격 거품붕괴 이후 반등 여부는 가계부채 조정이 변수라는 분석이 나왔다.

30일 LG경제연구소가 발표한 '세계 주택가격 소폭 반등, 가계부채 늘어난 나라는 회복 지연'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가계부채 비중이 높은데다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향후 주택경기 회복이 늦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보고서는 금융위기 이후 전세계적으로 하향세로 돌아섰던 주택시장의 움직임을 4가지 타입으로 요약했다. ▲주택가격지수가 계속 추락하는 나라 ▲하락 후 상승세로 돌아선 나라 ▲위기 중에도 주택가격 폭락 없이 상승세가 지속된 나라 ▲2000년대 주택가격 급증을 경험하지 않은 나라 등이다.

여전히 버블 붕괴중인 나라로는 스페인, 그리스, 아일랜드 등이 꼽혔다. 지난 2007년 하락세로 돌아선 이후 재정위기 우려와 경기침체로 가파른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특히 2000년대 초반 건설붐이 크게 일었던 스페인과 아일랜드에서는 곳곳에 생겨난 고스트타운(ghost town)이 사회적 문제가 되는 등 초과공급으로 인한 주택가격의 하락 압력이 존재한다.

이들 나라는 공통적으로 가계부채의 조정이 이뤄지지 않거나 오히려 부채 비중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일랜드는 2006년 190%에서 지속적으로 상승해 2011년에는 208%에 이르렀다. 재정위기로 소득이 줄어들면서 부채를 줄일 여력이 없는 상황에서 주택가격 하락은 가계 구매력을 더욱 감소시켰다.

가계부채 많은 나라들 주택가격 회복 지연

남유럽 재정위기와 관련이 적은 선진국들은 대부분 일정 기간 동안 주택가격이 하락한 후 반등 조짐을 보였다. 영국과 프랑스의 경우 금융위기 직후 주택가격이 고점 대비 80%까지 추락했으나 2년만에 회복했다. 미국은 2006년 서브프라임 사태때 부터 폭락해 가장 먼저 가격이 떨어졌고 하향세로 조정폭도 가장 컸다. 지난해 상반기부터 회복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보고서는 미국, 영국 등에서 위기 이후 가계부채 조정이 이뤄져 반등에 성공한 것으로 봤다. 미국의 경우 2007~2012년 사이 가계부채가 129%에서 112%로 낮아졌고 영국은 2007~2011년 사이 153%에서 15%p 가까이 줄어들었다.

2000년대 버블 형성이 적었던 독일과 일본의 경우에는 물가가 낮은 수준을 유지하는 가운데 완만한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다.

금융 위기에도 집값이 조정되지 않은 나라도 있다. 중국은 위기시에도 꾸준히 상승했고 호주, 캐나다 등에서는 집값 고공행진이 이어지고 있다.

이혜림 선임연구원은 "우리나라도 금융위기 이후 주택가격의 버블 붕괴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한국의 평균 주택가격지수는 2000~2007년 연평균 7.7%에서 2007~2012년 3.1%로 증가속도가 크게 둔화되기는 했지만 상승세는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2012년 우리나라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가 차지하는 비중은 134%로 OECD 평균을 크게 웃도는 데다 위기 이후 가계부채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주택가격이 본격적으로 반등하기 위해서는 부채 조정을 통한 가계의 구매력 개선이 선행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제-재배포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