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세 이후 …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2면

여유 있는 노년에 대한 꿈이 점점 멀어지고 있다. 60세 이상의 소비는 외환위기 수준으로 줄었다. 재산의 거의 전부인 집값이 하락하면서 지갑을 선뜻 열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50대 베이비부머(1955~63년생) 세대의 은퇴가 본격화하면서 자영업 내 노년층 경쟁은 격화됐다. 노후 불안 사회의 그림자가 짙어지고 있는 셈이다.

 25일 통계청 가계수지동향에 따르면 가구주가 60세 이상인 가구의 3분기 평균 소비성향은 69.4%에 불과했다. 외환위기 때인 97년 3분기(66.7%) 이후 최저다. 평균 소비성향이란 쓸 수 있는 돈(처분 가능 소득) 중 실제로 쓴 돈의 비율이 얼마인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이 수치가 낮은 것은 그만큼 허리띠 졸라매고 산다는 얘기다. 90년 대비 올 3분기 60세 이상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은 3.5배(66만원→236만원) 늘었는데 소비 증가는 2.5배(66만원→164만원)에 그쳤다.

 이유는 부동산 가격 하락이다. 가계금융복지조사(3월 기준)에 따르면 한국 가계 자산의 69.9%는 부동산이다. 특히 가구주 나이가 60세 이상인 가구는 이 비중이 81%에 달했다. 50대는 76.8%다. 강중구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고령층 소비 감소는 자산가치는 하락하고 가계부채 부담이 늘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은퇴는 이를 악화시킨다. 은퇴한 가구 10집 중 6집(61.2%)은 생활비가 부족하다고 답했다. 여유 있다는 답은 7%에 불과했다.

 이런 상황을 타개하려고 은퇴한 근로자가 뛰어드는 곳이 자영업이다. 그러나 자영업 상황도 여의치 않다. 60세 이상 자영업자 수(8월 기준)는 143만8000명에 이른다. 1년 새 5.5% 늘었다. 게다가 이들의 90%(129만 명)는 종업원이 한 명도 없는 ‘나 홀로 자영업’이다. 내수가 나빠지면 이런 영세업자부터 위기에 몰리게 된다. 노년층 사정이 이렇다 보니 가계는 너나 할 것 없이 노후 준비에 나서고 있다.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전체 세대 금융자산 투자의 절반(54.4%) 이상이 노후 준비 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1년 전보다 5.6%포인트 증가했다. 불안에서 비롯된 투자이다 보니 수익성(12.2%)보다 안정성(75.9%) 위주의 투자를 선호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