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봉구 창동 16구역 재건축 주민투표로 첫 해제 결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8면

추진 주체 없이 답보 상태에 놓여 있던 서울시 뉴타운·재개발 지역 가운데 주민투표를 통해 정비예정구역이 해제되는 첫 사례가 나오게 됐다. 재건축 예정지역인 도봉구 창동16구역(521-16번지)이 그곳이다.

 16일 서울시에 따르면 창동16구역의 주민투표 결과 토지 등 소유자 230명 중 46%(106명)가 사업 추진에 반대의사를 밝혔다. 현행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르면 주민 30% 이상이 구역해제에 동의하면 해제가 가능하다. 진희선 서울시 주거재생정책관은 “도시계획위원회의 해제 심의를 거친 뒤 정비구역 해제 고시를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그동안 추진주체가 없는 정비예정구역 중 민원이 많고 실태조사가 시급한 지역 8곳을 대상으로 정비계획안과 추정분담금 등을 조사했다. 이어 지난 10월 주민들에게 추정분담금을 공개하고 같은 달 29일부터 45일 동안 우편 또는 방문·현장투표를 통해 주민 의견을 수렴했다. 도봉구 창동16구역과 동작구 신대방구역, 광진구 화양2구역, 성북구 정릉1구역 등 4곳이 투표율 50%를 넘겼다. 동작구는 17일, 광진구는 20일, 성북구는 22일 개표한다.

 주민투표율이 50%에 미치지 못한 강동구 천호5구역(42.6%)과 은평구 증산1구역(20.8%)은 각각 이달 27, 31일까지 주민 의견 청취 기간을 연장하도록 했다. 특히 증산1구역은 최종투표율이 30%를 넘지 못하면 개표를 하지 않고 계속 사업을 추진하는 것으로 결론이 난다.

 진 정책관은 “앞서 조사한 8곳 외에도 추진 주체가 없는 70여 곳을 대상으로 현재 추정분담금 산정 등의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종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